B형 간염 바이러스(HBV) 보균자는 혈액암에 걸릴 위험이 크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연세대 보건대학원 지선하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연구원, 미국 국립암연구소와 공동으로 14년 동안 한국인 60여만명을 추적 조사한 결과, B형 간염바이러스 보유자의 혈액암(비호지킨림프종) 발생률이 2배 이상 높았다고 최근 밝혔다.
연구 결과, 14년간 B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은 5만 3045명이었으며, 이 가운데 133명이 비호지킨 림프종에 걸려 인구 10만명당 19.4명의 발병률을 기록했다. 반면 B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사람의 경우 비호지킨 림프종 발병률이 10만명당 12.3명(905명)으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혈액암인 악성림프종은 림프조직을 구성하는 세포가 악성화 해서 생긴 종양으로,호지킨림프종과 비호지킨림프종으로 나눈다.
이 중 비호지킨림프종의 예후가 더 나쁘다. 비호지킨림프종은 림프구 증식 질환으로, 국내 전체 악성림프종의 95.6%를 차지하고 있다. 호지킨림프종과 비슷하게 림프절에 침범해 간이나 폐 골수 위장관 뇌척수액 등 온몸에 전이된다.
심재억기자 jeshim@seoul.co.kr
연구 결과, 14년간 B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은 5만 3045명이었으며, 이 가운데 133명이 비호지킨 림프종에 걸려 인구 10만명당 19.4명의 발병률을 기록했다. 반면 B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사람의 경우 비호지킨 림프종 발병률이 10만명당 12.3명(905명)으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혈액암인 악성림프종은 림프조직을 구성하는 세포가 악성화 해서 생긴 종양으로,호지킨림프종과 비호지킨림프종으로 나눈다.
이 중 비호지킨림프종의 예후가 더 나쁘다. 비호지킨림프종은 림프구 증식 질환으로, 국내 전체 악성림프종의 95.6%를 차지하고 있다. 호지킨림프종과 비슷하게 림프절에 침범해 간이나 폐 골수 위장관 뇌척수액 등 온몸에 전이된다.
심재억기자 jeshim@seoul.co.kr
2010-09-13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