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익중 14년만에 개인전 ‘바람으로 섞이고 땅으로 이어지고’

강익중 14년만에 개인전 ‘바람으로 섞이고 땅으로 이어지고’

입력 2010-04-09 00:00
업데이트 2010-04-09 00: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순수하고 당당해 달항아리 좋아 올림픽서 금메달 딸때 김연아 얼굴이 그랬죠”

이제 딱 오십살이 된 강익중은 동안(童顔)에다 엄청난 달변이었다. 그의 말은 대부분 인생의 지혜와 민족의 미래에 대한 고민을 담은 잠언과 같은 것들이어서 왜 고(故) 백남준이 강익중을 지원했는지 알 듯했다. 아마도 젊었을 때의 백남준과 강익중은 많이 닮았을 터다.
이미지 확대
3인치 크기의 작은 캔버스를 모은 작품 ‘해피월드’ 앞에 선 강익중. 그림을 그리는 것은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작업이라고 말한다. 갤러리현대 제공
3인치 크기의 작은 캔버스를 모은 작품 ‘해피월드’ 앞에 선 강익중. 그림을 그리는 것은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작업이라고 말한다.
갤러리현대 제공


●광화문 가림막 ‘광화에 뜬 달’ 제작

서울 광화문 복원현장의 가림막 ‘광화에 뜬 달: 산, 바람’을 만든 강익중은 지난 10여년 간 어린이 그림과 공공미술 프로젝트에 골몰했다. 다음 달 2일까지 서울 사간동 갤러리현대 본관과 신관에서 열리는 ‘바람으로 섞이고 땅으로 이어지고’는 14년 만에 화랑에서 열리는 강익중의 개인전이다.

1984년 홍익대 서양화과를 졸업하고 ‘돈을 벌려고’ 미국으로 간 작가는 26년째 뉴욕에서 살고 있다. 하지만 그의 작품에 등장하는 소재는 달항아리, 한글, 산 등 우리에게 익숙한 한국적 소재들이다.

“달항아리를 제일 좋아하는 이유는 순수하고 당당하기 때문이다. 살면서 그리고 작가로서 닮아가야 할 두 단어가 ‘순수’와 ‘당당’이라고 생각한다.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딴 김연아 선수의 얼굴도 달항아리처럼 순수하고 당당했다. 달항아리는 그릴 때마다 공부가 된다.”

조선 백자인 달항아리는 아래와 위를 따로 만들어 붙인다. 이런 고유의 제작방식 때문에 강익중의 통일을 기원하는 마음이 작품에 담겨 있다. 특히 이번 개인전에 소개되는 달항아리 회화 작품에는 자세히 살펴보면 볼펜으로 그린 작가의 또 다른 그림이 손톱보다 작은 크기로 숨어 있다. 사람, 집, 새 등을 아이들의 그림체로 그린 작은 그림들은 귀엽고 새롭다.
이미지 확대
강익중作-산&1392 달항아리.
강익중作-산&1392 달항아리.


●병원 설치미술은 희망 주려는 것

조선 후기의 뛰어난 문인화가였던 강세황과 강희안의 후예인 강익중을 우리에게 알린 것은 유학 생활의 고단함이 담긴 3인치짜리 작은 그림들이었다. 그는 아이들의 꿈을 담은 작은 그림을 모아 대형 설치작품으로 완성하는 프로젝트를 많이 벌였다. 경기도미술관과 미국 신시내티 어린이병원, 충남대병원, 서울아산병원 등에 있는 ‘희망의 벽’이 대표적이다.

강익중은 “아픈 아이들에게 혼자가 아님을 알려주고 싶었다. 궁극적으로는 전 세계가 꿈으로 연결됐으면 하는 바람을 담았다.”고 ‘희망의 벽’ 프로젝트에 대해 설명했다. 북한 아이들의 꿈을 담은 그림을 받아 작품을 만드는 계획도 여전히 진행 중이다.

“김일성 탄생 100주년이 되는 2012년에는 큰 변화가 있지 않을까요? 어떤 권력이든 100년을 가기는 어렵거든요.”라고 통일에 대해 전망하는 강익중은 우리 민족이 요즘 큰 바람을 탄 것 같다고 말했다. 한민족의 에너지에 대한 그의 자신감은 다음 달 1일 개막해 10월31일까지 중국 상하이에서 열리는 2010 상하이 세계박람회(EXPO)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역대 엑스포 중 가장 큰 규모인 6000㎡의 한국관을 강익중은 한글과 단청 색으로 꾸밀 예정이다.

●상하이엑스포 한국관 단청 꾸며

개인전에 나오는 작품 가운데 하나인, 나무에 14가지 단청 색을 칠하고 ‘강익중체’라 불리는 한글로 쓴 ‘내가 아는 것들’에는 재미있고도 유익한 내용이 많다. ‘부자들은 돈을 항상 펴서 가지고 다닌다.’ ‘뉴욕사람들은 콧구멍을 차 안에서 몰래 후빈다.’ ‘정말 필요한 것은 별로 없다.’가 그 내용의 일부분이다. (02)2287-3500.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2010-04-09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