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컨 암살사건… 정의를 묻는다… 뭔가 밋밋하다
감독으로서 로버트 레드퍼드의 점수는 어느 정도일까. 시작은 무척 화려했다. ‘보통 사람들’(1980)로 데뷔하자마자 미국 아카데미영화제 감독상을 받았으니 말이다. 이후 작품에 대한 평가는 엇갈리는 편이다. 대중들이 ‘흐르는 강물처럼’(1992)과 ‘호스 위스퍼러’(1998)를 사랑할 때 평단은 ‘퀴즈쇼’(1994)를 지지했고, 그나마 2000년 들어 내놓은 영화들은 별다른 주목을 얻지 못했다.1865년 4월 15일, 링컨 대통령이 총에 맞아 사망했다. 북군 측은 즉각 범인 체포에 나섰고, 암살 공모자 중에는 메리 서랏(로빈 라이트)이란 이름의 평범한 중년 여성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녀가 워싱턴에서 운영하는 하숙집이 음모의 근거지로 지목됐기 때문이다.
도주 중인 그녀의 아들이 암살에 가담한 건 분명해 보이지만 그녀는 무죄를 주장할 뿐 아들의 행방에 대해 입을 다문다. 북군 장교 출신이자 초보 변호사인 프레더릭 에이컨(오른쪽·제임스 맥어보이)이 그녀의 변호사로 나선다. 서랏에 대한 반감과 변호사의 책임감이 뒤섞인 채 변호에 임한 에이컨은 차츰 재판에 문제점이 많음을 발견한다. 혼란스러운 정국을 해결하고 북부인의 복수심을 달래려는 정부는 오로지 희생양 제거에만 골몰하는 터였다.
법정영화의 긴장감을 기대한다면 ‘음모자’는 심심한 영화다. 죄 없는 인간이 법정에서 겪는 고통, 엎치락뒤치락하는 전개, 마침내 드러나는 진실 같은 건 ‘음모자’에 없다. ‘음모자’는 서랏의 무죄 여부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며, 영화는 그녀가 정말 범죄에 가담했는지를 중요하게 다루지도 않는다. ‘음모자’가 관심을 두는 건 그녀가 처한 불순한 상황이다.
서랏은 민간인이면서도 군사재판소에 섰다. 부적절한 절차들이 정당하게 변호받을 권리를 박탈하고, 조작된 증거와 증언이 보호받지 못한 자를 유죄로 몰아간다.
레드퍼드는 신성한 인권이 무참하게 짓밟힌 역사의 한 페이지를 펼쳐 현실의 문제를 제기한다. 민주당 지지자인 레드퍼드의 눈으로 볼 때 부시 치하에서 벌어진 일들은 150년 전 사건의 되풀이다. 잘못하면 비극이 반복된다는 것이다.
평론가 로저 에버트가 말한 것처럼 ‘음모자’는 답을 주기보다 토론을 이끌어내기를 원하는 작품이다. 레드퍼드의 의도는 이해 가능하고, 영화의 진중한 걸음은 주제에 부합한다. 그럼에도 ‘음모자’는 무기력한 작품이다. 영화 속 사건은 어느 곳에서나 마찬가지로 생길 법한 일이다.
문제는, 답을 모르는 게 아니라 나쁜 권력이 몸을 가로막는 데 있다. 부당한 처사 앞에서 아무 행동도 하지 못하는 에이컨은 바로 나 자신의 모습이며 ‘음모자’는 그 얼굴을 확인하는 선을 넘어서지 못한다. ‘음모자’는 몸에 입만 달린 영화 같다. 영화 내내 서랏의 몸과 얼굴 위로 환하게 내비치는 빛은 실제로는 반대인 현실을 방증할 따름이다. 당연히 맥어보이와 라이트의 성실한 연기도 맥을 추지 못한다.
영화평론가
2011-07-01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