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후보가 내놓은 뉴거버넌스 구축은 두 가지 측면에서 타당하다. 무엇보다 대통령과 청와대로 권한이 집중된 데 따른 갖가지 폐해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렇지 않아도 지금 우리 사회는 대통령 중심제가 지닌 권력 독점의 폐단으로 인해 너무나 많은 갈등과 분열을 겪고 있다. 이 때문에 정권이 바뀔 때마다 대통령 권한을 분산하자는 논의가 분분했으나 결과는 늘 다람쥐 쳇바퀴 도는 듯했다. 청와대의 국정방향 설정에 정파와 무관한 민간의 참여를 늘린다면 그 자체로 권력 독점의 폐해를 일정 부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권력 분산보다 큰 의미는 민간 전문가들의 국정 참여를 대폭 늘리는 것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헤쳐 나갈 효과적인 정부 형태라는 점이다. 개발 시대를 이끌어 온 소수 관료 중심의 중앙집권형 통치 모델은 더이상 유효하지 않다. 민간의 창의적 역량이 정부 정책에 곧바로 투영될 수 있어야 시대흐름을 좇아갈 수 있다. 기술혁명의 빠른 속도를 따라가려면 정부부터 기동력을 갖춰야 하고 그런 점에서 뉴거버넌스 구축은 절대적 충분조건인 셈이다.
관건은 대통령의 의지다. 윤 후보가 청와대를 시민의 공간으로 내주겠다는 약속만 해도 문재인 대통령이 5년 전 내놨지만 지키지 않았다. 경호 등을 이유로 삼았으나 결국은 의지 박약이 요인이다. 집권하면 말이 달라지는 대통령은 이제 사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