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남매 둔 채 전사한 20대 가장… 후손은 3대째 ‘병역 명문가’

어린 남매 둔 채 전사한 20대 가장… 후손은 3대째 ‘병역 명문가’

허백윤 기자
허백윤 기자
입력 2024-05-03 00:30
업데이트 2024-05-03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6·25 유해 故 김희선 일병 확인
아들 보병장교, 손자 의경 복무

이미지 확대
고 김희선 일병
고 김희선 일병
어린 남매를 두고 자원입대해 6·25전쟁에 참전했다 전사한 용사의 유해가 가족 품으로 돌아왔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국유단)은 2008년 강원도 횡성군 서원면 일대에서 발굴된 유해의 신원이 6·25전쟁 당시 횡성 전투에서 전사한 고 김희선 일병으로 확인됐다고 2일 밝혔다.

국유단은 전쟁 당시 국군 전사자를 마을 주민이 직접 묻은 장소가 있다는 지역 주민의 제보를 토대로 2008년 4월 해당 유해를 수습했다. 이후 고인의 아들 김성균(74)씨가 아버지의 유해라도 찾고 싶다며 다음해 5월 유전자 시료 채취에 응했지만 당시 기술로는 가족 관계를 확인하지 못했다. 그러다 최신 기술을 적용한 분석으로 지난 3월 부자 관계가 입증됐다.

1926년 3월 경북 상주시에서 3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난 고인은 6·25전쟁이 발발하기 전 결혼해 슬하에 남매를 뒀다. 전쟁이 터지자 1950년 11월 대구 제1훈련소로 자원입대해 국군 제8사단 소속으로 홍천, 충주, 제천 등지에서 전투를 치렀고 1951년 2월 12일 횡성 전투에서 중공군에 맞서 싸우다 25세 나이로 전사했다.

고인의 가문은 아들과 손자까지 3대가 모두 병역을 마쳐 2005년 병역 명문가로 선정되기도 했다. 아들 김씨는 1970년 5월에 육군3사관학교 2기 보병 장교로 임관했고 손자 김진현(46)씨는 1998년 8월 의무경찰로 복무했다.

고인의 아들은 “돌아가신 어머니는 아버지가 돌아오기를 한평생 기다리며 눈물과 한숨으로 지냈다”면서 “오랜 시간이 걸렸지만, 두 분을 합장해서 꿈에 그리던 해후가 이뤄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허백윤 기자
2024-05-03 2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