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어만도 못한 펠레?… 권위에 대한 조롱 담겨

문어만도 못한 펠레?… 권위에 대한 조롱 담겨

입력 2010-07-13 00:00
업데이트 2010-07-13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왜 파울에 열광할까

족집게 문어 ‘파울’의 승리팀 맞히기 행진이 이어지자 전 세계 축구팬들은 그에게 최우수선수상을 줘야 한다는 등의 찬사를 쏟아 냈다. 그런가 하면 이번 대회에도 어김없이 등장한 ‘펠레의 저주’에 대해서는 적지 않은 조롱을 보내기도 했다. 월드컵 스타디움 뒤편에서 벌어진 이 열광과 조롱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사회학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갈린다.

오건호(사회학 박사) 사회공공연구소 연구실장은 ‘파울 신드롬’에서 ‘불확실성’에 노출된 시민들의 불안감과 ‘권위’에 대한 조롱이라는 시대적 조류를 끌어냈다. 그는 “기존 질서와 가치를 지탱해 주는 전문가들의 권위가 추락하고 있다는 시대적 흐름이 ‘문어만도 못한 펠레’라는 담론에 투영돼 있다.”고 지적했다. 축구에 관한 한 최고 전문가 중 한 명이라는 펠레를 문어에 빗대 조롱하고 웃음거리로 삼는 것은 “권위를 무너뜨리고 싶어 하는 사람들의 갈망을 드러내고 있다.”는 것이 오 실장의 해석이다. 그는 “지난 수십년 동안 개인이 져야 할 짐이 커져 갔지만 그에 반비례해 개인의 성공 가능성은 낮아졌다.”면서 “문어에게 승리팀을 물어보는 것은 높아진 불확실성의 시대를 사는 이들의 불안감과 혼란스러움의 표현이나 다름없다.”고 밝혔다.

반면 설동훈 전북대 사회학과 교수는 “문어가 잘 맞히니까 관심을 끌지만 투자계획을 문어에게 물어보는 기업 CEO는 아무도 없을 것”이라면서 지나친 의미 부여보다는 축제의 한 과정으로 ‘문어 현상’을 이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설 교수는 ‘문어보다도 못 맞힌다.’는 조롱을 받은 ‘펠레의 저주’의 이면에는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지는 상황을 바라볼 때의 위안감이 담겨 있다고 분석했다. 월드컵 때마다 사람들이 펠레의 발언에 주목하는 것은 ‘펠레처럼 세계적인 선수도 틀릴 수 있는 상황’을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현재 자신이 겪고 있는 어려움이나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떨쳐낼 힘을 얻으려는 심리라는 설명이다. 그는 “축구에서든 야구에서든 아무리 승률이 높은 팀이라 해도 언제든 꼴찌 팀에 질 수 있다.”면서 “사람들이 토너먼트의 단판 승부에 열광하는 것도 결국 제아무리 어렵더라도 언제든 역전할 수 있다는 믿음을 토너먼트가 주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강국진기자 betulo@seoul.co.kr

2010-07-13 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