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그래스, 호킹에 답하다] “神은 인간의 망상… 생명은 자연의 손에 재창조”

[맥그래스, 호킹에 답하다] “神은 인간의 망상… 생명은 자연의 손에 재창조”

입력 2010-09-04 00:00
수정 2010-09-04 00: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과학적 무신론’ 호킹·도킨스의 주장은

9일 출간될 스티븐 호킹 케임브리지대 교수의 저서 ‘그랜드 디자인’이 주목 받는 이유는 서구사회에서 확산되고 있는 무신론의 촉매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과학적 근거에 바탕을 두고 ‘인간이 모든 것을 증명할 수 있다.’고 말하는 과학자들의 주장은 학계는 물론 일반인들 사이에서 폭넓은 인기를 얻으며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호킹 교수가 책에서 언급한 무신론적 발언에 대해 일간 더 타임, 인디펜던트, 가디언, BBC 등 영국 주요 언론들은 실시간으로 소식을 전하며 비상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과거 호킹의 저서 ‘시간의 역사’가 일반인들이 이해할 수 없는 순수한 과학의 영역을 다뤄 ‘역사상 가장 읽히지 않은 베스트셀러’로 꼽혔던 것과는 사뭇 다른 양상이다. ‘신의 존재 유무’에 대한 관심이 그만큼 크다는 반증이다.

이미지 확대
일각에서는 호킹 교수의 책이 담고 있는 내용에 비해 지나치게 대중 영합적인 광고를 하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무신론을 앞세워 영국 역사상 자서전으로는 가장 많은 판매고를 올릴 것이 확실시되는 토니 블레어 전 총리의 ‘여정(A Journey)’에 대응하는 마케팅 수단이 아니냐는 것이다.

갈릴레오 갈릴레이와 코페르니쿠스가 지동설을 주창한 뒤로 수백년 동안 진행돼온 ‘유신론 대 무신론’의 논쟁은 1977년 리처드 도킨스가 ‘이기적 유전자’를 출간하면서 급격히 무신론 쪽으로 무게가 쏠리기 시작했다. ‘이기적 유전자’에서 신의 존재를 의심하던 수준에 머물렀던 도킨스는 1986년 ‘눈먼 시계공’을 내놓으면서 과학적 근거를 기반 삼아 본격적인 무신론의 영역에 들어섰다. 기본적으로 생명은 신이 아닌 자연이라는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지속적으로 재창조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 같은 주장은 2006년 ‘만들어진 신’을 통해 사실상 ‘무신론’으로 굳어졌다. 도킨스는 이 책에서 “신은 존재하지 않으며 인간이 만들어낸 망상”이라고 단언했다. 믿음이 가장 중요하다며 과학을 외면하던 종교계에서 처음으로 도킨스에게 정면 대응한 사람이 앨리스터 맥그래스 당시 옥스퍼드대 위클리프홀 교수다. 맥그래스 교수는 ‘도킨스의 신’ ‘도킨스의 망상’ 같은 책을 잇따라 발간하며 지성인들의 필독서로 꼽히던 ‘이기적 유전자’와 도킨스를 정면으로 반박하고 나섰다. 그는 도킨스를 비롯한 과학적 무신론자들이 ‘좁은 영역에서의 발견’을 근거로 인간과 과학의 전능함을 앞세우고 있다는 점을 비판했고, 그 뒤로 그의 주장은 종교를 배제하려는 과학자들에게 맞서는 논거로 활용됐다.

스티븐 호킹은 1988년 펴낸 ‘시간의 역사’를 통해 초끈이론 등 당시 물리학계에서 새롭게 제기된 이론 등을 소개하며 우주의 진실을 파헤쳐 나가면서도 신의 존재에 대해서는 유보적인 견해를 보였다. 심지어 아인슈타인이 꿈꾸고 자신이 지향하는, 모든 물리학의 법칙을 통합하는 궁극적 이론인 ‘통일이론’이 종국에는 현대과학이 도달할 수 없는 영역으로 남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등 일정부분 신의 영역을 수용하는 듯한 모습도 보였다. 그러나 이후 등장한 M이론과 이에 따른 평행우주론, 다우주론 등을 통해 우주 탄생의 비밀에 한 발 더 다가서면서 마침내 ‘우주는 신이 아니라 스스로 창조됐다.’는 주장을 내놓기에 이르렀다.

런던 박건형 순회특파원 kitsch@seoul.co.kr

2010-09-04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