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억제제 중단뒤 거부반응 없어… 혈당수치도 4분의1로
서울대 박성회 교수 연구팀이 돼지 췌도세포를 이용해 당뇨병 원숭이 치료에 성공함에 따라 이종 간 장기 이식을 통해 당뇨병을 치료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무엇보다 면역학적으로 유전자 조작을 거치지 않은 무균돼지의 장기를 썼다는 점에 의학계가 주목하고 있다.연구팀은 자체 개발한 면역억제제(MD-3)가 원숭이의 생존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 자체 개발한 면역억제제만을 투약한 원숭이 3마리는 곧바로 죽었다. 이후 연구에서는 5마리에게 추가로 두 가지 면역억제제를 투여했다. 그 결과, 5마리 중 4마리가 살아남았다. 연구팀은 “이 면역억제제가 원숭이 몸속에서 항원(침입자)에 대항하는 면역 T세포를 억제함으로써 면역거부반응 없이 생존을 가능하게 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식 4개월 뒤 면역억제제 투약를 중단했음에도 이식거부반응이 나타나지 않은 점도 관심이 쏠리는 대목이다. 일반적으로 장기이식 이후에는 평생 면역억제제를 투약받아야 한다. 투약을 중단하고도 이식거부반응이 없었다는 사실은 이식된 장기가 일정 기간이 지나면 안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연구팀은 다른 부문의 연구에서도 이 면역억제제를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번 연구가 임상시험에서도 성공할 경우 350만명에 이르는 국내 당뇨질환자들뿐만 아니라 해외 환자들에게까지도 새로운 희망을 줄 수 있다. 그만큼 획기적인 연구다. 박 교수는 “이 연구가 임상에서 성공하면 수많은 사람들이 당뇨병의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넘어야 할 산도 많다. 먼저 연구 성과의 관찰기간이 8개월로 짧아 당장 사람에게 적용이 가능한지 언급하는 것 자체가 무리라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평가다. 서울대 관계자도 “원숭이 등 영장류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 성공하더라도 인간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는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최소한 2년 이상의 생존기간을 관찰하고, 원숭이에 대한 정밀 조직검사 등을 거쳐야만 효과와 부작용 등을 어느 정도 가늠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동현기자 moses@seoul.co.kr
2011-11-01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