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김홍빈 대장과 ‘호형호제’… 강행옥·피길연 등 ‘산 벗’ 많아[2024 재계 인맥 대탐구-1부 재계의 신흥강자 <3>중흥]

故 김홍빈 대장과 ‘호형호제’… 강행옥·피길연 등 ‘산 벗’ 많아[2024 재계 인맥 대탐구-1부 재계의 신흥강자 <3>중흥]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24-02-27 00:27
업데이트 2024-02-27 00: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원주 회장의 못 말리는 산 사랑

이미지 확대
정원주(왼쪽) 대우건설 회장이 아들인 정정길 대우건설 상무와 산을 배경으로 환하게 웃고 있는 모습. 본인의 소셜미디어(SNS)에 프로필 사진으로 올렸다. 정원주 회장 페이스북 캡처
정원주(왼쪽) 대우건설 회장이 아들인 정정길 대우건설 상무와 산을 배경으로 환하게 웃고 있는 모습. 본인의 소셜미디어(SNS)에 프로필 사진으로 올렸다.
정원주 회장 페이스북 캡처
“산을 통해 세상을 다시 배우고 걸으면서 나를 다시 정리해 보는 생각의 시간을 갖게 됐다.”(‘김홍빈 희망을 오르다’에서)

정원주 대우건설 회장은 등산 애호가를 넘어 전문 산악인에 가까운 등산 실력을 가진 것으로 유명하다. 산을 매개로 만나 ‘산 벗’이라고 부르는 특별한 인연들이 있다. 특히 7대륙 최고봉과 히말라야 14좌 완등을 장애인 산악인 최초로 성공한 고(故) 김홍빈 대장과는 ‘형’이라고 불렀을 정도로 막역한 사이였다. 2015년부터 ‘김홍빈 원정대’ 단장을 맡아 김 대장과 2016년 낭가파르바트, 2017년 로체, 2018년 안나푸르나 등 히말라야를 함께 등반했다. 김 대장의 기록집인 ‘김홍빈, 희망을 오르다’에서 정 회장은 “과거 산을 별로 좋아하지 않았는데 강행옥(광주 YMCA 이사장) 선배로부터 뜬금없이 일면식도 없는 김 대장 원정대 후원회장 요청을 받게 되면서 산을 좋아하게 됐다”고 회고한 바 있다. 이어 “어느새 산에서 몸과 마음을 정화하고 어떤 때는 산과 동일화되는 자신을 발견한다”고도 했다. 2021년 히말라야 브로드피크(8074m)에서 전해진 김 대장의 비보 후에는 상주 역할을 자임하며 5일간 상가를 지키기도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지 확대
2019년 5월 세계 제11위 고봉 히말라야 가셔브룸Ⅰ(8068m) 등정을 앞두고 열렸던 고 김홍빈 원정대의 발대식 모습. 정원주(뒷줄 왼쪽 네 번째) 중흥그룹 부회장(대우건설 회장)은 김홍빈 원정대 단장을 맡은 바 있다. 정원주 회장 페이스북 캡처
2019년 5월 세계 제11위 고봉 히말라야 가셔브룸Ⅰ(8068m) 등정을 앞두고 열렸던 고 김홍빈 원정대의 발대식 모습. 정원주(뒷줄 왼쪽 네 번째) 중흥그룹 부회장(대우건설 회장)은 김홍빈 원정대 단장을 맡은 바 있다.
정원주 회장 페이스북 캡처
또 다른 ‘산 벗’으로는 윤장현 전 광주시장, 장병완 전 국회의원, 류재선 전 한국전기공사협회 회장, 피길연 광주시산악연맹 회장 등이 있다.

정 회장은 주말마다 백두대간을 걷고 있다. 실제로 2022년 한 해 동안에는 주말 100여일간 산길 1500㎞를 걸었다고 밝히기도 했다. 정 회장의 남다른 산 사랑은 온라인 공간에서도 드러난다. 그의 소셜미디어(SNS) 계정에는 가족, 지인들과 산에서 찍은 사진이 많이 올라와 있다. 지난해 대우건설 회장 취임을 앞두고 대우건설 임직원 200여명과 함께 북한산 등반에 나섰고, 대한주택건설협회 출입 기자단과의 만남도 북한산 둘레길 등반 행사로 진행했다.

윤수경 기자
2024-02-27 1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