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를 보다] 31년 만에 우주로 날아간 ‘챌린저호의 슬픈 축구공’

[우주를 보다] 31년 만에 우주로 날아간 ‘챌린저호의 슬픈 축구공’

박종익 기자
박종익 기자
입력 2017-02-10 21:52
수정 2017-02-11 01: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제우주정거장의 숨겨진 이야기

지난 3일 미국인으로는 유일하게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머물고 있는 셰인 킴브로가 자신의 트위터에 축구공 사진 한 장을 올렸다.
챌린저호 희생자 중 오른쪽이 ‘슬픈 축구공’의 사연을 품은 엘리슨 오니주카다(왼쪽 사진). 국제우주정거장(ISS) 내에 떠 있는 축구공(오른쪽). 출처 미국항공우주국(NASA)
챌린저호 희생자 중 오른쪽이 ‘슬픈 축구공’의 사연을 품은 엘리슨 오니주카다(왼쪽 사진). 국제우주정거장(ISS) 내에 떠 있는 축구공(오른쪽).
출처 미국항공우주국(NASA)
이 축구공은 ISS 내에서도 최고의 ‘명당자리’인 큐폴라(Cupola·선체 관측용 모듈)에 떡하니 자리를 잡고 아름다운 지구를 바라보는 호사를 누리고 있다. 난데없는 모습처럼 보이지만 이 축구공에는 미국은 물론 전 세계적으로 큰 충격을 던진 가슴 아픈 사연이 숨겨져 있다.

사연은 31년 전인 1986년 1월 28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날 오전 11시 30분쯤 미국 플로리다 케네디 우주 센터에서 굉음과 함께 우주왕복선 한 대가 힘차게 날아올랐다. 현장은 물론 수많은 사람이 TV를 통해 발사 장면을 지켜보던 중 우주왕복선은 이륙 70여초 만에 공중에서 폭발했다. 인류의 우주탐사 역사상 최대의 참사로 기록된 챌린저호 폭발 사고로 승무원 7명 전원이 사망했다.

당시 챌린저호에는 엘리슨 오니주카(1946~1986)가 아시아계 미국인으로는 처음으로 탑승했다. 일본계인 그는 고등학교 축구팀에 있던 딸 자넬의 부탁으로 축구공을 건네받았다. 자넬과 동료 학생들이 각각의 꿈과 희망을 가득 담아 사인을 남긴 축구공이었다. 오니주카는 이 축구공과 함께 챌린저호를 타고 지구 궤도를 돌 예정이었지만 모든 게 물거품이 되고 말았다. 비극적인 사연을 품은 축구공은 사고 며칠 뒤 우주가 아닌 대서양 한복판 잔해 속에서 발견됐다.

뒤늦게 사연을 접한 오니주카의 딸 자넬은 “축구공이 마침내 우주로 나갔다”면서 “비극으로 끝난 아버지의 미션을 완수할 수 있도록 도와준 킴브로에게 감사드린다”며 눈시울을 붉혔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2017-02-11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