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미혜 이대 사회복지전문대학원장
김미혜 이대 사회복지전문대학원장
그는 “노인들도 다음 세대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진지하게 고민을 해야 한다.”면서 “노인 여가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면 다음 세대도 건강하고 즐겁게 나눌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기 때문에 이들에게 선택의 길을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중·장년층 가운데 직장에서 은퇴하면 활력을 잃고 의욕을 상실하는 사례가 많다. 퇴직 전 노년기 여가 프로그램을 준비하지 않았기 때문에 뒤늦게 참여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김 원장은 현재 ‘베이비붐 세대’가 이런 상황에 놓여 있어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예비 노인’으로 불리는 55세 이하 중·장년층은 장년기에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상황을 맞았지만 일에 치여 살다 보니 65세 이상 노인과 마찬가지로 여가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보지 않은 분들이 많다.”면서 “전 세대보다 크게 달라진 것이 없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여가를 단순히 ‘노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노인들도 많다. 하지만 김 원장은 ‘같이 하는 것’이라고 표현했다. 처음에는 사회복지사의 도움을 받아 활동하겠지만 시간이 지나면 다른 노인을 이끌어주는 동반자 역할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특히 독거 노인은 무료로 참여할 수 있는 복지관·경로당의 여가 프로그램에 참여할 경우 신체 건강은 물론 우울증 해소 등의 정신건강 회복 효과도 노릴 수 있다는 것이 김 원장의 설명이다. 그는 “모임을 통해 몸을 움직이다 보면 정보도 얻게 되고 건강도 되찾게 된다.”면서 “부수적인 효과가 다양하기 때문에 여가 프로그램은 건강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그는 또 “독거 노인이 혼자 처음부터 프로그램에 적응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사회복지사들이 도움을 많이 줘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현용기자 junghy77@seoul.co.kr
2011-07-04 1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