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기술·디지털 의료·모빌리티’ 기업 생존 화두 될 것

‘5G 기술·디지털 의료·모빌리티’ 기업 생존 화두 될 것

홍인기 기자
홍인기 기자
입력 2020-10-14 22:38
업데이트 2020-10-15 02: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언택트 디지털 에필로그] ‘포스트 코로나’ 돌파구 찾는 기업들

코로나 종식돼도 산업 지형 디지털 재편
소비활동 변화로 온라인 플랫폼만 성장
5G가 자율차·스마트 시티의 핵심 인프라
이미지 확대
14일 서울 중구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20 서울미래컨퍼런스’에 참석한 이들이 연사의 발언에 귀를 기울이고 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뉴노멀시대의 인류’를 주제로 열린 이날 행사는 온·오프라인을 병행해 진행됐다.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14일 서울 중구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20 서울미래컨퍼런스’에 참석한 이들이 연사의 발언에 귀를 기울이고 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뉴노멀시대의 인류’를 주제로 열린 이날 행사는 온·오프라인을 병행해 진행됐다.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언택트’(비대면)는 코로나19 확산 전후를 구분 짓는 대표적인 단어다. 10년 넘게 걸릴 변화가 코로나19 확산으로 급격하게 이뤄지면서 산업 일선에 있는 기업들은 저마다 돌파구를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원격진료, 온라인교육,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OTT), 배달 앱, 홈 엔터테인먼트 등 비대면에 기반을 둔 기업들은 산업 지형 재편을 이끌고 있다.

14일 열린 ‘2020 서울미래컨퍼런스’의 마지막 세션인 ‘언택트, 디지털 에필로그’에서는 산업 현장에서 변화의 바람을 그대로 체감하고 있는 기업인들의 생생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이미지 확대
이성환 KT 5G·기가 사업본부장
이성환 KT 5G·기가 사업본부장
이미지 확대
최윤섭 디지털헬스케어파트너스 대표
최윤섭 디지털헬스케어파트너스 대표
이날 세션에서는 디지털 시대 전환을 앞당기는 5G 기술을 비롯해 디지털 의료, 모빌리티가 주요 화두였다. 연설자로 나선 이성환 KT 5G·기가 사업본부장은 “5G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인프라”라며 “스마트 시티, 자율주행 자동차, 원격의료, 스마트 공장, 스마트 물류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최윤섭 디지털헬스케어파트너스 대표는 코로나19 이후 미국에서 원격진료 이용이 증가한 사실을 언급하면서 “앞으로 디지털 헬스케어는 원격의료, 의료 데이터를 분석·판독하는 의료 인공지능(AI), 가상현실(VR)을 통한 치료 등 디지털 치료제가 결합해 발전하는 모습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고태봉 하이투자증권 리서치 센터장
고태봉 하이투자증권 리서치 센터장
정보통신기술(ICT)의 진화가 가져온 ‘탈것’의 변화를 설명한 고태봉 하이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앞으로 자동차는 자율주행, 초연결, 공유, 친환경이 융합된 형태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업체들의 동향을 조망하면서 “테슬라의 궁극적인 지향점은 모빌리티, 에너지, 통신 등을 망라하는 플랫폼 기업”이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에서 우리나라 기업들도 살아남아야 한다는 얘기다.
연설 직후에는 게임 분야에서의 5G 기술 활용 가능성, 자율주행차가 출연한 뒤 사고 책임 등에 대한 논란, 자율주행 자동차 외 수소자동차의 발전 가능성 등의 질문이 나오기도 했다. 전 구글 스타트업 성장매니저 주영민 작가의 사회로 진행된 패널 토론에서는 연설자로 나선 이들에게 코로나19 이후 산업 지형의 변화를 묻는 질의가 쏟아졌다.

이와 관련해 고 센터장은 “블루칼라 직업군이 맡고 있는 일은 로봇, 화이트칼라는 AI가 대체하고, 사람은 창의적인 일에 몰입할 수 있는 미래가 될 것 같다”고 답했다. 이 본부장은 “사람, 로봇, AI가 서로의 역할을 보완하면서 공존하지 않을까 예상한다”고 말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20-10-15 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