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스트 세계 최초 ‘파이봇’ 개발
안전 문제로 제약받던 상황 해소기존 항공기 개조할 필요도 없어
심현철 카이스트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
심 교수는 “후쿠시마 원전 상공에 접근하지 못해 헬리콥터는 멀리서 물을 뿌렸다. 우울증으로 탑승객 모두와 함께 목숨을 끊은 조종사 사건 같은 경우는 인공지능(AI) 로봇 조종사가 있었다면 발생하지 않았을 일”이라며 자신과 카이스트 연구팀이 개발한 휴머노이드 파일럿 ‘파이봇’(Pibot)을 소개했다.
심 교수 팀이 개발 중인 파이봇은 세계 최초의 휴머노이드 파일럿이다. 파이봇은 인간형으로 만들어진 로봇으로, 실제 항공기 조종석에 앉아 AI를 통해 습득한 조종술로 비행기를 운전할 수 있도록 개발됐다. 기존 항공기를 개조할 필요 없이 조종석에 파이봇을 앉혀 두면 시동을 걸고 활주로를 달린다. 이착륙 모든 과정에서 사람이 전혀 개입할 필요가 없다. 심 교수는 “그동안의 비행기 사고를 보면 사람이 아주 위대하게 인명을 살린 경우도 있고, 실수로 사람을 숨지게 하기도 했고, 해서는 안 될 일을 한 경우도 있었다”며 “과연 사람에게 조종을 계속 맡겨 두는 게 맞는지를 고민하는 과정에서 휴머노이드 파일럿을 개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파이봇은 1단계 개발을 마치고 2단계 개발에 들어간 상태다. 시뮬레이션으로 김포공항에서 이착륙을 마쳤고, 실제 비행기에 앉아 시동을 걸기도 했다. 심 교수는 “각종 규제 문제로 실제 비행기를 몰고 테스트하기까지는 여러 과정이 필요하겠지만 지금도 실제 운행이 충분히 가능한 수준이라 본다”고 말했다. 파이봇이 조종을 무사히 해낸다면 각종 위험한 임무에 투입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심 교수는 조종사 안전 문제로 후쿠시마 원전 상공에 진입하지 못한 소방헬기, 조종사 실수로 추락한 비행기의 사례, 긴급 상황에서 정해진 매뉴얼을 찾아 읽고 행동해야 하는 조종사들의 모습을 소개하면서 “파이봇은 이를 손쉽게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심 교수는 “인간의 능력은 이미 많은 부분 기술에 따라잡혔다. 이제는 복잡한 문제를 해석하고 해결 방안을 내놓는 것도 AI가 더 나아지고 있다”면서 “판도라의 상자는 이미 열렸다. AI 개발을 멈출 것이 아니라 통제할 수 있는 방안을 고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2023-10-26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