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T ‘걷는 속도로 건강체크’ 센서 개발
걷는 속도가 건강 상태에 관한 중대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전보다 줄어든 보행 속도는 심장 마비와 같은 심혈관계 질환이나 치매가 발병할 소지를 미리 보여 주는 신호가 될 수 있다는 것.![걷는 속도를 체크하는 것만으로도 건강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MIT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5/05/SSI_20170505174953_O2.jpg)
MIT 제공
![걷는 속도를 체크하는 것만으로도 건강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MIT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5/05/SSI_20170505174953.jpg)
걷는 속도를 체크하는 것만으로도 건강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MIT 제공
MIT 제공
이 기술은 최근 미국에 있는 여러 돌봄주택에서 테스트를 완료했다. 돌봄주택은 장애인과 노인 생활의 합리화와 편의를 위해 설계된 주택이다. 당시 실험 단계에서 정확도 95~99%로 사용자의 보행 속도를 측정할 수 있었다. 특히 이 센서의 전파는 휴대전화가 내보내는 것보다 100분의1 적은 방사선을 방출하면서 벽을 통과할 수 있어 각 장치는 저마다 약 9~12m의 반경 등 집안 곳곳을 살필 수 있다. 이번 연구의 주저자인 첸유 수 박사과정 연구원은 이 센서를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되면 가격이 저렴해져 건강한 사람들의 보행 속도를 모니터링하는 데도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이 장치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행 속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너무 오래 앉아 있으면 운동하도록 권장할 수도 있다.
연구에 참여한 디나 카타비 교수는 “피할 수 없는 입원 중 많은 사례는 낙상이나 울혈성 심장 질환, 또는 만성 폐색성 폐질환과 관련한 문제로 보행 속도와 상관관계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에 관한 자세한 성과는 이달 말 미국 콜로라도주(州)에서 열리는 미국컴퓨터학회(ACM) 주최 인간컴퓨터상호작용학회(CHI)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2017-05-06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