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100년 대기획] 야스쿠니의 어제와 오늘

[한·일 100년 대기획] 야스쿠니의 어제와 오늘

입력 2010-02-03 00:00
업데이트 2010-02-03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군국주의 버팀목… 자민당정권 몰락후 흔들

│도쿄 박홍기특파원│야스쿠니(靖國)신사의 겨울은 비교적 한산했다. 지난달 30일 주말임에도 관광객들이나 젊은 남녀, 나이가 든 시민들이 이따금 참배할 뿐, 여느 신사나 다름없었다.

이미지 확대
일본 야스쿠니신사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일본 야스쿠니신사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신사의 초입에 진을 치던 노점상도 없었다. 계절 탓도 있지만 야스쿠니는 예전과 같지 않다. 버팀목이었던 자민당 정권의 몰락과 함께 흔들리고 있다. 하토야마 정권에서는 ‘야스쿠니신사는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야스쿠니는 메이지유신 직후인 1869년 내전에서 숨진 병사들의 제사를 위해 세워진 신사로 전국 8만여곳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크다. 쇼콘샤(招魂社)로 불리다가 1879년 현재 명칭으로 바뀌었다. 제2차세계대전 당시엔 전몰자의 추모 및 호국신사로 자리매김했다. 일왕이 직접 참배, 군국주의를 고취시키는 절대적인 역할을 맡았다. 패전 뒤 야스쿠니는 연합군총사령부의 강요에 따라 추모시설 대신 종교시설로 전환했다. 하지만 추모 기능은 유지됐다. 야스쿠니는 메이지유신 이후 군인·군속 등 전몰자 246만여명의 위패가 안치돼 있다. 한국인도 2만여명에 달한다.

야스쿠니가 이목을 끌기 시작한 것은 1978년 도조 히테키를 비롯, A급 전범 14명을 합사하면서부터다. “전범재판은 승자의 일방적인 재판이다. 합사에 문제가 없다.”는 게 야스쿠니 측의 입장이다. 야스쿠니 본전 옆에는 침략전쟁을 미화·찬미하는 전쟁박물관 유슈칸(遊就館)이 자리잡고 있다.

히로히토 전 일왕은 A급 전범 합사 후 “깊은 화근을 남기게 될 것”이라며 야스쿠니를 참배하지 않았다. 그러나 미키 다케오, 나카소네 야스히로,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총리는 재임시절 8·15 종전일에 노골적으로 야스쿠니를 찾았다. 고이즈미 이후 총리들은 한국·중국 등의 반발을 의식, 참배를 자제했다.

야스쿠니의 존재 의미는 지난해 9월16일 하토야마 유키오 정권이 출범과 동시에 축소됐다. 하토야마 총리는 ‘8·30 중의원선거’ 전부터 “나와 각료들은 야스쿠니를 참배할 생각이 없다.”고 공언했다.

또 야스쿠니를 대체할 국립추모시설의 건립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실제 하토야마 정권의 각료들은 단 한명도 지난해 10월 야스쿠니 추계대제에 참석하지 않았다. 야스쿠니의 위기감은 전몰자 유족모임에서도 가시화되고 있다.

후쿠오카현 유족연합회는 최근 야스쿠니 측에 합사된 A급 전범 14명의 분사 방안을 제안했을 정도다. 다만 야당으로 전락한 자민당의 야스쿠니에 대한 집착은 대단하다. 자민당은 지난달 24일 “보수의 기치를 올려야 한다.”면서 올해 ‘행동강령’에 야스쿠니 참배를 명문화했다.

hkpark@seoul.co.kr
2010-02-03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