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청년 빈곤 리포트-D급 청춘을 위하여] 국민 10명 중 7명 “미취업 청년 월 100만원 넘어야 인간다운 삶”

[2018 청년 빈곤 리포트-D급 청춘을 위하여] 국민 10명 중 7명 “미취업 청년 월 100만원 넘어야 인간다운 삶”

이성원 기자
입력 2018-10-28 22:44
업데이트 2018-10-29 10: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롭게 정하는 청년 빈곤선

국민 10명 중 7명은 미취업 청년이 인간다운 최소한의 삶을 보장받으려면 월 100만원 이상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통계청이 집계한 지난해 1인 가구의 월평균 지출(137만 3000원)보다는 적고, 빈곤선으로 흔히 쓰이는 중위소득 50%(1인 가구 83만 6000원)보다는 높은 액수다. 정규 일자리가 없더라도 최소한 월 100만원의 수입은 있어야 빈곤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적정 월 식비로는 20만~30만원, 월세는 20만~30만원, 문화비는 10만원 미만을 선택한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미지 확대
서울신문은 ‘청년 빈곤선’을 정해보고자 지난달 설문조사 전문업체 엠브레인에 의뢰해 전국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청년빈곤 인식조사를 했다. 빈곤선은 적절한 생활수준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소득을 말하는데, 이보다 수입이 적으면 빈곤하다고 분류한다. 빈곤선 기준은 주요기관과 국가, 연구자에 따라 다르다. 유럽연합(EU)과 영국의 빈곤선은 중위소득 60% 미만이며, 일본은 일반 근로자세대 소비지출의 68%를 빈곤선으로 보고 있다.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중위소득 50%를 빈곤선으로 본다. 이를 기준으로 했을 때 2016년 기준 청년(19~34세)의 빈곤율은 8.8%이며 전체 빈곤율은 18.3%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100만원 이상 150만원 미만을 택한 응답자가 27.1%로 가장 많았다. 150만원 이상 200만원 미만이 24.2%, 200만원 이상이 18.1%, 75만원 이상 100만원 미만이 17.5%로 뒤를 이었다.

대구에서 올라와 서울에서 취업 준비 중인 최진렬(25)씨는 “월세·관리비 50만원, 통신비 7만원, 교통비 5만원은 고정 값이기 때문에 월 100만원으로는 저축은커녕 아팠을 때 병원을 가기도 어렵다”고 말했다.

취업한 청년이 적절한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월 소득은 이보다 50만~100만원 정도 더 많았다. 200만원 이상 250만원 미만 37.9%로 가장 높았고, 150만원 이상 200만원이 34.2%, 100만원 이상 150만원 미만이 11.9%, 250만원 이상 300만원 미만이 10.8%, 350만원 이상이 2.8% 순이었다. 김유빈 한국노동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최저임금(올해 7530원·주40시간 157만원)이 과거보다 많이 오른 점 등이 반영된 것 같다”며 “우리 국민의 심리적 한계선으로 해석하면 적절해 보인다”고 말했다.

미취업 청년의 적정 월세로 20만원 이상 30만원 미만을 선택한 응답이 44.5%로 가장 많았다. 20만원 미만을 응답한 이들이 36.0%로 뒤를 이었고, 30만원 이상 40만원 미만 16.3%, 40만원 이상 50만원 미만이 2.9%였다. 월세 보증금은 1000만원 미만이 66.5%였고, 1000만원 이상 2000만원 미만이 23.6%, 2000만원 이상 3000만원 미만이 8.6% 순이었다.

미취업 청년의 적정 월 식비는 20~30만원이 37.5%로 가장 많았다. 30만원 이상이 24.2%였고, 15만원 이상 20만원 미만이 23.9%, 10만원 이상 15만원 미만이 12.9%로 뒤를 이었다.미취업 청년이 지출을 줄여야 하는 항목으로 의류구입비가 40.5%로 가장 높았고, 문화생활비 33.9%, 통신비 12.8%, 주거비 8.0%, 식비 2.6%, 교통비 1.2%, 교육비 1.0% 순이었다.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특별취재팀

이성원·홍인기·민나리 기자

■취재지원

한국언론진흥재단
2018-10-29 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