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효율·친환경차 부품 독자개발
‘연구 개발로 경제 위기를 정면 돌파하자.’현대모비스가 유럽발 경제 위기를 돌파하기 위한 전략으로 친환경 미래 자동차 연구·개발(R&D)에 집중하고 있다. 고효율·친환경차 부품에서의 기술적 리더십 확보가 미래 자동차 시장을 선점하는 원동력이 된다는 판단에서다. 현대모비스는 부품 경량화를 통해 연비를 높이고 하이브리드카, 연료전지차, 전기차 등 ‘그린카 시대’를 이끌 핵심 부품 개발로 2020년 ‘글로벌 톱 5’ 자동차 부품 회사로 변신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최근 경기 용인시 마북동의 현대모비스 기술연구소에서 연구원들이 하이브리드 부품을 장착해 각종 시험과 점검을 하고 있다. 현대모비스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7/18/SSI_20120718164239.jpg)
현대모비스 제공
![최근 경기 용인시 마북동의 현대모비스 기술연구소에서 연구원들이 하이브리드 부품을 장착해 각종 시험과 점검을 하고 있다. 현대모비스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7/18/SSI_20120718164239.jpg)
최근 경기 용인시 마북동의 현대모비스 기술연구소에서 연구원들이 하이브리드 부품을 장착해 각종 시험과 점검을 하고 있다.
현대모비스 제공
현대모비스 제공
타이어의 압력 상태를 점검해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TPMS도 불필요한 연료 소비를 막고 타이어 마모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부품 경량화를 통한 연비 향상 노력도 적극적이다. 현대차 제네시스는 철로 구성된 현가장치(서스펜션)의 부품을 알루미늄 소재로 대체하면서 무게를 15㎏ 이상 줄였다. 또 현대모비스가 최초로 국산화에 성공한 ‘전동식 조향장치’(MDPS)는 기존의 유압식 방식보다 무게가 5㎏쯤 가벼운 데다 자동차 발전기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필요할 때 모터를 작동시켜 엔진의 연료 소모를 줄였다.
현대모비스는 환경과 연비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카 등 그린카 관련 기술 개발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연간 12만대 규모의 생산 능력을 갖춘 경기 의왕 공장은 현재 쏘나타 하이브리드와 K5 하이브리드에 들어가는 전기 모터 및 배터리 패키지 어셈블리(BPA), 하이브리드 전력제어장치(HPCU) 등의 핵심 부품을 독자 기술로 생산하고 있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
2012-07-19 5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