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줌마·아가씨 기자의 달콤살벌한 맛짱] 500년 전통 이어온 마카롱

[아줌마·아가씨 기자의 달콤살벌한 맛짱] 500년 전통 이어온 마카롱

오달란 기자
오달란 기자
입력 2015-11-29 17:40
업데이트 2015-11-30 01: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탈리아서 시집 온 프랑스 대표 디저트

●메디치家 카트린, 앙리2세와 결혼하며 제빵사 데려와

마카롱은 프랑스를 대표하는 디저트이지만 이탈리아에서 시작됐다. 이름도 이탈리아어로 ‘섬세한 반죽’을 뜻하는 마카로네(maccarone)에서 유래했다.

1533년 베네치아 메디치가문 귀족인 카트린이 프랑스 왕인 앙리 2세와 결혼하면서 이탈리아 출신 제빵사들을 프랑스에 데려왔다. 이들이 마카롱 레시피를 프랑스에 전파했다는 설이 유력하다. 17세기부터 프랑스 왕과 귀족들은 마카롱을 간식으로 즐겼고, 대중도 결혼과 같은 잔치나 축제, 종교행사에서 마카롱을 먹었다.

●처음엔 쿠키 형태… 20세기 초 샌드위치형 첫선

초기의 마카롱은 바삭하게 구운 과자 사이에 잼, 크림 등 속을 채운 지금의 모습과 거리가 멀었다. 동그랗게 구운 아몬드 쿠키였다. 1862년 문을 연 파리의 유명 과자점 라뒤레의 창업자 루이 라뒤레의 손자 피에르 데퐁텐이 20세기 초 샌드위치 형태의 마카롱을 처음 만들었다. 이 마카롱이 프랑스 전역에서 큰 인기를 끌면서 지금까지 이어졌다. 허핑턴포스트에 따르면 프랑스 3대 디저트인 마카롱, 에클레어, 가토(케이크) 가운데 마카롱의 판매량이 나머지의 2배로 가장 많다.

프랑스에 가면 맥도날드에서도 마카롱을 먹을 수 있다. 한 개당 0.95유로(약 1200원) 정도로 저렴한 편이다. 맥도날드는 독일, 호주, 중국 등 일부 매장에서도 마카롱을 판다.

3월 20일은 마카롱의 날이다. 2005년 프랑스 유명 요리사인 피에르 에르메가 주도적으로 만들었다. 미국 뉴욕, 영국 런던 등으로 퍼졌다. 행사에 참여한 베이커리는 손님에게 한 개의 마카롱을 무료로 제공한다. 이날 판매된 마카롱 수익금의 일부는 지역 자선단체에 기부된다.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5-11-30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