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유화공세’…남북관계 중대변화 기로

‘北 유화공세’…남북관계 중대변화 기로

입력 2010-09-11 00:00
수정 2010-09-11 15: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천안함 사태로 경색됐던 남북관계가 북측의 적극적 유화 공세로 변화의 기로에 섰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토요일인 11일 오전 조선적십자회가 대한적십자사 측에 추석을 맞아 이산가족 상봉을 갖자고 전날 제의했다고 보도했다.

 북측의 제안은 대북 제재국면을 타개하기 위해 국제사회와 남측에 보내는 적극적인 ‘유화 제스처’로 해석된다.특히 수해지원을 위해 남측을 향해 ‘쌀,시멘트,중장비’를 달라는 요청을 한 것과 같은 맥락에서 받아들여지고 있다.

 정부와 대한적십자사도 11일 북측의 제안에 대해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혀 인도주의 지원을 매개로 한 남북관계 돌파구 마련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이 전날 러시아 국영뉴스채널 ‘러시아24TV’에 출연해 ‘제2 개성공단’ 가능성 등을 언급하며 “남북관계가 정상적 관계로 가기를 바라고 있다”고 말한 것도 최근 흐름에서 의미심장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최근 이 같은 남북관계의 흐름을 놓고 남북 간 우회적 또는 비공식 접촉이 있었던 것 아니는 관측을 내놓기도 한다.

 최근 남북 간 긍정적 흐름은 ‘천안함 국면’ 전환과 식량난 해결,후계체제 구축 과정에서의 체제안정 등을 위한 북측의 이해와 오는 11월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를 앞두고 남북관계를 안정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있는 남측의 요구가 맞아떨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대북 수해지원과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남북 적십자 간 실무접촉,이산가족 상봉 등을 계기로 남북 간 긴장은 상당히 누그러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산가족상봉으로 분위기가 더욱 호전되면 정부 차원의 대규모 식량 및 비료지원 문제 등이 현안으로 부각돼 이를 위한 남북 당국 간 대화가 열릴 가능성도 있다.

 문제는 인도주의를 매개로 한 남북 간 소통이 현재의 국면전환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북측이 천안함 사태에 대해 사과 등 성의있는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5.24조치로 묶인 남북관계가 당장 전면적으로 재개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대통령도 전날 “나는 북한이 천안함 사태에 대해 사죄를 하고 다시 정상적 관계로 가야 한다고 본다”며 천안함 사태 해결의 중요성을 다시 언급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전격적으로 제3차 정상회담을 통한 돌파구 마련을 시도할 수도 있다.

 6자회담을 통한 ‘출구 찾기’ 가능성에 대한 기대는 높아지고 있다.

 이산가족상봉 등으로 남북 간 긴장이 다소 풀리면 6자회담 재개 가능성도 커지고,6자회담 틀에서 남북이 자연스럽게 천안함 문제를 짚고 넘어갈 수 있다는 것이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이산가족상봉으로 천안함 사태가 당장 풀리기는 어렵다”면서도 “6자회담이 재개되고 그런 흐름에서 한반도 군사적 긴장해소 측면에서 천안함 사태가 자연스럽게 해소되는 과정을 거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북한이 이날 이산가족 상봉 제의 사실을 확인할 때까지 통일부 등이 ‘침묵’한 것을 두고 다시 논란이 일고 있다.

 정부는 이날 오전 10시께 북한 조선적십자회가 대한적십자사에 추석을 맞아 이산가족 상봉을 갖자고 제의했다는 조선중앙통신 보도가 전해진 직후 주무부처인 통일부를 중심으로 긴급 대책회의를 여는 등 뒤늦게 부산하게 움직였다.

 통일부는 앞서 우리측의 수해복구 지원 제의에 대해 지난 4일 쌀과 시멘트,굴착기 등을 요구하는 북측의 역제의를 받은 사실을 7일 연합뉴스의 보도 이후 ‘늑장공개’해 논란을 야기했다.

 당시 현 장관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100% 노력하겠다”고 말했지만,이날 비슷한 일이 반복되자 대북정책의 투명성 확보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아울러 최근 북한의 잇따른 유화공세에 정부가 시의적절하고도 효과적인 대응을 못하고 있는게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