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특채 남발…5년간 63% 특채로 채용”

“외교부 특채 남발…5년간 63% 특채로 채용”

입력 2010-10-03 00:00
수정 2010-10-03 15: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 5년간 외교통상부에 새로 채용된 698명 가운데 63%가 특별채용으로 들어왔다고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유기준(한나라당) 의원이 3일 지적했다.

 유 의원은 국정감사에 앞서 이날 낸 자료에서 2006년∼2010년 외교부 채용된 698명의 채용 방식을 분석한 결과 △외무고시 161명 △행정고시 30명 △7급공채 67명 △특별채용 440명의 분포를 보였다고 밝혔다.

 기간을 2000년부터 10년간으로 넓힐 경우,채용인원 925명 가운데 54%인 500명이 특채자인 것으로 파악됐다.

 외교부 전체 직원 1천863명 중에서는 32%인 593명이 특채 등의 형태로 입부(入部)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채자는 2000년∼2002년만해도 매년 한자리 수였으나 2003년∼2005년 10∼20명대로 늘었고 이후 91명(2006년),147명(2007년),100명(2008년),55명(2009년),47명(2010년)으로 급증한 추이를 보였다.

 이에 대해 외교부 관계자는 “참여정부는 외교관의 경쟁력 강화와 순혈주의 타파를 위해 외교관 채용 경로를 다양화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며 “정규직 증원이 잘 안돼 계약직으로 뽑을 수 있는 특채가 대규모로 이뤄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 의원은 “6∼7급 충원은 공채 위주로 추진하되 공채로 선발하기 어려운 특수외국어 및 전문 분야 직원만 특채하는 등 규모를 축소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유 의원은 5급 이상 외무공무원 가운데 공채출신자 1천150명과 특채 출신자 284명의 외국어 능력을 비교했을 때 특채자의 어학능력 관리에 문제가 있었다고 덧붙였다.

 영어나 제2외국어 등급을 갖고 있지 않는 경우가 공채 출신자는 3.8%(44명)에 불과했으나 특채 출신자는 38.4%(109명)로 높게 나타났다.

 이외에도 그는 156개 재외공관 가운데 스웨덴,네팔,태국 등 27개 공관에서는 현지 언어능력 검정시험에 합격한 직원이 전무하다며 대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