鄭, 탈당 전력에 ‘쓴잔’… 丁, 연임 도전 물거품

鄭, 탈당 전력에 ‘쓴잔’… 丁, 연임 도전 물거품

입력 2010-10-04 00:00
수정 2010-10-04 00: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최고위원에 머문 ‘빅2’

민주당 세력을 양분해 온 정동영 후보와 정세균 후보는 10·3 전당대회에서 ‘손학규 바람’을 넘지 못했다.

둘은 집단지도체제가 도입되면서 최고위원으로 지도부에 입성했지만, 당은 급속도로 손학규 대표 중심으로 재편될 전망이어서 당권에 한 발 비켜설 수밖에 없게 됐다.

이미지 확대
●와신상담 鄭, 대표 문턱서 좌절

정동영 후보는 전대 기간 내내 ‘풍찬노숙하고 돌아온 큰 아들을 받아들여 달라.’고 호소했다.

2007년 대선 참패와 지난해 4월 재·보선 당시 탈당한 경력에 대해 사죄하고, ‘담대한 진보’라는 핵심 구호로 당심을 파고들었지만 결국 1128표차로 손 대표에게 밀려 2위에 그쳤다.

당 관계자는 “자신에게 유리한 지역구 공천을 주지 않는다고 지도부에 항거해 탈당한 사람이 대표가 된다면 나중에 유사한 사건이 발생했을 때 영이 서겠느냐.”며 그의 한계를 설명했다.

다만 ‘빅3’ 가운데 가장 약체라던 평가를 극복한 것은 큰 성과다. 소멸됐다고 여겨졌던 지난 대선 조직이 완전히 복구돼 세력에서도 결코 밀리지 않는 뒷심을 보여줬다.

여기에다 ‘역동적 복지국가’를 당헌에 명시케 하고, 사회복지 부유세 도입 등 전대 기간 내내 진보 이슈를 주도했다.

특히 그와 뜻을 함께했던 천정배, 박주선, 조배숙 후보가 함께 지도부에 들어와 손 대표의 가장 확실한 견제 세력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이에 따라 정동영 최고위원은 손 전 대표와 협력·견제 관계를 적절히 활용하며 자신의 ‘대권 플랜’을 가동할 것으로 보인다.

●丁, 새 인물 여망 당심 못넘어

정세균 후보는 이번 전대에서 가장 큰 타격을 받았다.

손 대표 및 정동영 최고위원에게 밀려 3위에 그쳤고, 최재성 후보가 떨어지면서 당 지도부가 자신을 제외하고는 온통 비주류로 채워져 그의 위치는 크게 위축될 게 뻔하다.

정세균 최고위원은 지난 2년 동안 큰 부침 없이 당을 이끌었고 지방선거에서도 승리했지만 결국 새 인물을 바라는 당심의 벽을 넘어서지는 못한 것으로 보인다.

약세 지역이었던 영남·충청·경기 지역위원장들의 지지선언이 잇따르고, 당의 핵심세력인 친노(親) 그룹의 지원을 받는 등 막강한 조직력을 발휘했지만, “대선후보가 될 가능성이 희박한 후보가 다시 대표가 되면 당세가 약해질 것”이라는 한계론에 부딪혔다.

정 최고위원의 입지 축소는 친노 그룹의 동반 위축을 가져올 전망이다.

다만 손 대표가 친노 세력을 아우르지 못한다면 정 최고위원은 친노 그룹을 바탕으로 새로운 길을 모색할 수도 있다.

이창구기자 window2@seoul.co.kr
2010-10-04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