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경제대책회의서 “농산품 물가는 더 세심하게 살펴야”
이명박 대통령은 10일 “금년 국정 중에서 성장과 물가 문제가 있는데, 우리가 물가에 더 심각하게 관심을 갖고 국정의 총력을 기울일 수밖에 없게 됐다”고 말했다.이 대통령은 이날 정부 과천청사에서 열린 제81차 국민경제대책회의에서 “임기 3년에 (기획재정부) 세번째 방문이다. 그만큼 경제문제, 물가문제가 가장 중요한 국정의 이슈”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정부가 물가문제에 대해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해 국민들에게 신뢰를 주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특히 배추.마늘 등 농산품은 서민생활과 직결되는 만큼 정부가 더 세심하게 살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지난해와 같은 가격 문제가 재발하지 않도록 농림수산식품부와 관련 부처들이 적극적으로 세밀하게 대책을 마련해달라”면서 “물가대책은 단기적인 계획도 세워야 하지만 내년 그리고 10년후 등 중장기적 계획도 함께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아울러 “물가문제는 우리가 최선을 다해도 소위 ‘비욘드 컨트롤(beyond control.통제범위를 벗어남)’이 되지 않는가 하는 부분도 있다”면서 중동사태에 따른 유가급등과 기후 영향으로 인한 농수산물 가격 상승을 언급한 뒤 “정부, 전문가가 노력하는 것을 비롯해 국민의 이해를 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에너지 가격이 오르는 것에 우리가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은 물론 정부의 역할도 있지만 에너지 절감이 중요한 요소”라며 “국민적 합의에 의해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대체할 수 있는 것은 기름을 적게 쓰는 방법 밖에는 없다”며 “대중교통 (이용), (승용차) 주5일제를 시행하고 있지만 강제적 페널티 (부과)보다는 국민운동으로 함께 참여해 적어도 승용차 가동시간을 10% 정도 줄인다던가 하는 국민적 이해와 참여가 있으면 성과를 거둘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국무위원들이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현장에 나가서 확인하는 행정을 더 적극적으로 해나가기를 부탁한다. 전 부처의 합심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기후가 따뜻해지고 4월이 돼서 봄 야채가 나오면 다소 물가가 안정기에 들어가지 않겠느냐는 기대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이 최근 물가관리 쪽에 무게를 싣는 발언들을 이어가면서 경제정책 기조와 경제성장 및 물가관리 목표가 수정되는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으나 정부는 이 같은 가능성을 부인했다.
김희정 청와대 대변인은 “세계적 흐름이 회복세가 계속 이어지고 있어 성장은 낙관적인 전망을 한다는 보고가 많다”며 “그렇기 때문에 나머지 한쪽인 물가에 더 우선순위를 둔다는 것이지, 정책 기조를 바꾼다거나 전망을 변경하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연 합 뉴 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