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당권경쟁 계파대결 치닫나···후유증 우려

與 당권경쟁 계파대결 치닫나···후유증 우려

입력 2011-06-26 00:00
수정 2011-06-26 14: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나라당 7·4 전당대회가 계파 대결로 비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구주류인 친이(친이명박)계가 원희룡 후보를 지지하기로 사실상 입장을 정리한 게 기폭제가 됐다.

 무엇보다 ‘지도부 입성’이 아닌 ‘당권 수복’을 목표로 원 후보를 지지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친박(친박근혜)계와 쇄신그룹 등 대척점에 서 있는 당내 세력의 거센 반발이 예상된다.

 현재 친이계 의원은 60∼70명(비례대표 포함)으로 파악되고 전체 80여명의 원외 당협위원장 중 절반 정도도 친이계로 분류된다.친이계가 합세하면 당권을 되찾는 것은 실현 불가능한 목표는 아니라는 게 정치권의 분석이다.

 당장 남경필·홍준표·나경원 후보 등 중립·쇄신 후보로 분류되는 당권주자들은 24일 대구·경북권 비전발표회에서 ‘계파정치 종식’을 촉구하고 나섰다.

 따라서 이번 전대는 ‘친이 대 반(反)친이’ 구도로 짜일 가능성이 있다.

 반(反)친이 진영에는 친이계와 긴장 관계에 있는 친박계는 물론,친이 퇴진론을 요구해온 쇄신그룹,범 친이계로 분류되지만 ‘표 이탈’을 우려할 수밖에 없는 홍준표·나경원 후보 등이 포진할 수 있다.

 특히 지난 18대 총선 공천을 놓고 갈라섰던 친이·친박이 19대 총선 공천을 담당할 새 당대표 자리를 놓고 재대결하는 양상이다.친박계에서는 1인2표 중 나머지 1표를 누구에게 던질 지 고민이 깊어질 전망이다.

 이 같은 구도는 선거인단 규모를 21만명으로 확대한 의미와 관계없이 전대를 또다시 ‘줄세우기 조직선거’로 전락시키고,나아가 극심한 후유증을 낳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한 친박계 의원은 26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친이가 어떤 형태로든 또다시 패거리 행태를 보이는 것 자체가 전대 실패”라며 “전대에서는 자율투표가 이뤄져야 한다”고 반발했다.

 친이계도 원 후보에 대한 지지가 계파 대결로 비치는데 적잖은 부담을 갖고 있다.

 친이계가 원 후보를 지지하는 이유는 당의 변화·개혁,원만한 당청관계를 위한 것 외에 지난 3일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표의 회동 이후 형성된 계파 협력·화합 분위기를 살리기 위한 것이라는 게 한 핵심 의원의 전언이다.

 친이·친박의 해빙 무드를 만들 적임자로 원 후보를 선택했다는 것이다.내부적으로 홍준표·나경원 후보를 친이 후보로 내세울 경우 친박이 예민하게 반응할 것으로 판단했다는 말도 들린다.

 한 의원은 “친이가 뭉치는 것 자체를 경계하고 오해하지 말아야 한다”며 “원 후보가 대통령과 박 전 대표의 관계에 있어 안전장치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