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내에서 27일 이명박 대통령과 손학규 민주당 대표 간 회담의 의미와 성과를 놓고 불협화음이 나오고 있다.
손 대표 측은 민심을 가감없이 전달하며 국정 기조의 근본적 변화를 요구한 것 자체가 회담의 가장 큰 성과라고 부각하고 있다. 등록금 인하, 가계부채 대책 등 구체적인 쟁점에서도 진전이 이뤄졌다는 입장이다.
이용섭 대변인은 “민생현장의 목소리와 서민의 애환, 고통을 있는 그대로 청와대에 전달하고, 청와대가 이를 받아들여 친서민 중심으로 바꿔나가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는 것이 손 대표의 속마음”이라며 “그런 의미에서 회담은 큰 성과를 거뒀다고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이 대변인은 “회담 현장에서도 대통령이 많이 동의한다, 참고하겠다고 말했다”며 “이제 공은 청와대와 정부로 넘어갔는데 이후 민생 대책이 많이 쏟아지면 이보다 큰 성과가 어디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박선숙 전략홍보본부장도 “국정의 근본적 변화를 요구한 것에 대해 일정한 수준에서 공감하고 변화된 태도를 보였다”며 “물론 국민의 기대에는 충분히 미치지 못하지만 당장 의견이 좁혀지지 못한 부분은 야당이 주장할 몫으로 남은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당내에서는 이번 회담이 충분한 사전조율 없이 일정에 쫓겨 준비하는 바람에 원론적 수준의 공감대 외에 구체적인 결과물을 도출하지 못했다는 비판론도 나온다.
한 최고위원은 “사전에 실무선에서 충분히 협상한 뒤 ‘이것만은 해결해야 한다’고 관철시킨 다음에 하는게 맞지 않았을까 싶다”며 “회담 날짜만 촉박하게 잡을 일은 아니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민주당은 최소한 등록금 인하와 일자리 창출에 필요한 추가경정예산에 대해서만큼은 진전된 입장을 받아왔어야 한다”며 “태산명동 서일필(예고만 떠들썩하고 실제 결과는 보잘것 없음)도 못되는 회담이었다”고 혹평했다.
한 중진의원은 “회담의 성과가 나올 것같지 않았다면 아예 회담을 중단했어야 한다”며 “회담장에서도 진전이 없다면 차라리 자리를 박차고 나오는 모습을 보이는게 낫지 않았을까 싶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이명박 대통령이 27일 오전 청와대에서 민주당 손학규 대표와 이야기를 나누며 회담장으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손 대표 측은 민심을 가감없이 전달하며 국정 기조의 근본적 변화를 요구한 것 자체가 회담의 가장 큰 성과라고 부각하고 있다. 등록금 인하, 가계부채 대책 등 구체적인 쟁점에서도 진전이 이뤄졌다는 입장이다.
이용섭 대변인은 “민생현장의 목소리와 서민의 애환, 고통을 있는 그대로 청와대에 전달하고, 청와대가 이를 받아들여 친서민 중심으로 바꿔나가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는 것이 손 대표의 속마음”이라며 “그런 의미에서 회담은 큰 성과를 거뒀다고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이 대변인은 “회담 현장에서도 대통령이 많이 동의한다, 참고하겠다고 말했다”며 “이제 공은 청와대와 정부로 넘어갔는데 이후 민생 대책이 많이 쏟아지면 이보다 큰 성과가 어디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박선숙 전략홍보본부장도 “국정의 근본적 변화를 요구한 것에 대해 일정한 수준에서 공감하고 변화된 태도를 보였다”며 “물론 국민의 기대에는 충분히 미치지 못하지만 당장 의견이 좁혀지지 못한 부분은 야당이 주장할 몫으로 남은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당내에서는 이번 회담이 충분한 사전조율 없이 일정에 쫓겨 준비하는 바람에 원론적 수준의 공감대 외에 구체적인 결과물을 도출하지 못했다는 비판론도 나온다.
한 최고위원은 “사전에 실무선에서 충분히 협상한 뒤 ‘이것만은 해결해야 한다’고 관철시킨 다음에 하는게 맞지 않았을까 싶다”며 “회담 날짜만 촉박하게 잡을 일은 아니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민주당은 최소한 등록금 인하와 일자리 창출에 필요한 추가경정예산에 대해서만큼은 진전된 입장을 받아왔어야 한다”며 “태산명동 서일필(예고만 떠들썩하고 실제 결과는 보잘것 없음)도 못되는 회담이었다”고 혹평했다.
한 중진의원은 “회담의 성과가 나올 것같지 않았다면 아예 회담을 중단했어야 한다”며 “회담장에서도 진전이 없다면 차라리 자리를 박차고 나오는 모습을 보이는게 낫지 않았을까 싶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