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멸위기’에 공감대..李대통령-박근혜 관계설정도 관심
한나라당의 쇄신 논란 와중에 박근혜 전 대표와 당 쇄신파간 연대 기류가 표출돼 주목된다.박 전 대표는 지난 8일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쇄신은 국민의 삶에 다가가는 것이 먼저”라며 “쇄신파의 요구는 귀담아들을 만하다”고 말했다. 쇄신파들은 다음날 오찬에서 “정책 혁신이 우선”이라며 박 전 대표를 거들었다.
친박(친박근혜)계와 소장개혁파가 합심해 지난 5월 경선 당시 비주류였던 황우여-이주영 후보를 원내대표와 정책위의장으로 당선시키고, 7월 전대에서 친박계 유승민 최고위원과 소장파 남경필 최고위원을 지도부에 입성시킨 장면을 연상시킨다.
이를 두고 정치권에선 양측의 ‘절박감’이 맞닿았다는 해석이 나온다. 내년 총선ㆍ대선을 앞두고 민심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는 위기감과 함께 당 쇄신의 시급성에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친이(친이명박)계를 중심으로 하는 구주류의 반격에 공동대응하는 성격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친박 최다선(6선)인 홍사덕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박 전 대표와 쇄신파간 연대 양상이 당 쇄신에 긍정적으로 작용할지에 대해 “당연하다”고 말했다.
쇄신파 정태근 의원도 “친이(친이명박) 구주류로 상징되는 사람들을 제외하고는 쇄신의 방향ㆍ내용에 대해 상당히 공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이해 관계를 감안하면 양 측은 당분간 쇄신 국면에서 보조를 맞출 것으로 예상된다.
이 과정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당의 ‘쇄신 기대’에 부응하지 못할 경우 쇄신파 뿐 아니라 박 전 대표 역시 이 대통령의 대척점에 서야 하는 상황이 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 친박 인사는 “박 전 대표와 쇄신파는 기득권을 버리고 새로운 옷으로 갈아입지 않으면 공멸할 수 있다는 위기의식에서 공감하는 것 같다”면서 “박 전 대표가 일부러 이 대통령을 타깃으로 하지는 않겠지만 방향이 잘못된다면 그 누구든 잘못을 지적할 수 있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