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도 남는 의문점
경찰은 8일 10·26 재·보선 당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박원순 후보 홈페이지에 대한 디도스 공격 수사와 관련, “아쉽다.”고 밝혔다. “한나라당 최구식 의원실 비서 공모(27)씨의 단독 범행이라는 자백을 받았다.”고 발표하면서 시간에 쫓겨 제대로 수사하지 못한 사실을 인정한 것이다. 경찰이 공씨의 입에만 놀아난 꼴이다. 윗선 개입이나 배후에 대한 뚜렷한 실체적 물증 없이 갑작스러운 ‘주범의 자백’으로 사건이 마무리되는 상황을 맞았기 때문이다. 특히 경찰이 선거 전날 박희태 국회의장 전 비서인 김모(30)씨가 1차 술자리에서 청와대 행정관과 동석한 사실을 언론 발표에서 쏙 빼면서 일각에서는 수사 은폐·축소 의혹까지 일고 있다. 때문에 풀어야 할 숱한 의혹은 검찰의 손으로 넘어가게 됐다.![8일 오후 10·26 재·보선 당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박원순 서울시장 후보 홈페이지에 대한 디도스 공격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 서대문구 미근동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의 반투명 문으로 수사관들의 분주한 모습이 비치고 있다. 안주영기자 jya@seoul.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12/08/SSI_20111208171546_O2.jpg)
안주영기자 jya@seoul.co.kr
![8일 오후 10·26 재·보선 당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박원순 서울시장 후보 홈페이지에 대한 디도스 공격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 서대문구 미근동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의 반투명 문으로 수사관들의 분주한 모습이 비치고 있다. 안주영기자 jya@seoul.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12/08/SSI_20111208171546.jpg)
8일 오후 10·26 재·보선 당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박원순 서울시장 후보 홈페이지에 대한 디도스 공격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 서대문구 미근동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의 반투명 문으로 수사관들의 분주한 모습이 비치고 있다.
안주영기자 jya@seoul.co.kr
안주영기자 jya@seoul.co.kr
경찰은 이번 사건과 관련한 브리핑에서 범행 당일 공씨를 비롯해 김씨와 술자리를 함께한 인물들에 대해 석연치 않은 태도를 보였다. 주범 공씨를 제외한 정치권 관계자들의 신원에 대해선 ‘모르쇠’로 일관했다. 박 의장 전 비서 김씨를 10시간 넘게 조사하면서 동석했던 한나라당 정두언 의원 비서 김모(34)씨가 어떤 직업을 가졌는지 모른다고 발표한 것은 물론 공씨와 직접 대면하지는 않았지만 박모 청와대 행정관(3급)이 1차 술자리에 함께 있었던 사실조차 부인했다. 경찰 수사에 의혹이 일어나는 대목이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경찰이 “윗선의 눈치를 보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박행정관은 이와 관련, “공씨와는 전혀 모르는 관계이고, 김씨와 저녁을 먹고 헤어졌을 뿐”이라고 거세게 반발했다.
②왜 시간 다른가·윗선 정말 몰랐나
공씨는 선거 전날인 10월 25일 밤 11시가 넘어 정보기술(IT) 업체 대표 강모(25)씨에게 범행을 지시한 뒤 함께 술을 마시던 박 의장 전 비서인 김씨를 밖으로 불러 이 사실을 털어놨다. 김씨는 만류했고, 공씨는 “디도스 공격이 된다.”는 강씨의 보고를 받은 뒤 룸살롱 안 화장실에서 다시 김씨에게 전했다. 그러나 12시가 넘어 술자리를 떠났다는 김씨의 말과 달리 실제 테스트 공격은 새벽 1시가 넘어 이뤄졌다. 또 김씨는 이후 공씨의 범행 사실을 공성진 전 의원 비서 박모(35)씨에게도 알렸다. 전·현직 의원 비서 3명이 이 엄청난 사실을 미리 알고도 입을 맞춰 ‘그들만의 비밀’로 감추고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의원실과 여권 관계자 등에게 알렸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만일 이 사실을 여권 측에서 알고도 은폐한 정황이 드러날 경우 여당에 불어닥칠 후폭풍은 더욱 거셀 것 같다.
③공씨·관련자 진술 왜 달라졌나
공씨는 검거 이후 일관되게 범행을 부인했다. 그러나 공씨의 고향에서는 ‘자신이 한 일이 아닌데도 공씨가 죄를 덮어쓴다고 하더라.’, ‘나경원 의원을 도우려고 했다더라.’라는 말이 떠돌았다. 만일 이 말들이 사실로 입증될 경우 공씨의 자백은 거짓이 되는 것이다. 경찰이 “끈질긴 설득 끝에 공씨가 입을 열었다.”고 했지만 갑작스러운 공씨의 심경 변화 역시 쉽게 이해하기 힘든 대목이다.
백민경기자 white@seoul.co.kr
2011-12-09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