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재정 건전성 수호가 역사적 소명”

李대통령 “재정 건전성 수호가 역사적 소명”

입력 2012-04-28 00:00
업데이트 2012-04-28 13: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재정전략회의 주재..”좌고우면하면 나쁜 전례 생겨””그리스ㆍ스페인 위기 사례 반면교사 삼아야”

이명박 대통령은 28일 “재정의 건전성을 악화시키는 일은 우리가 어떻게든 피해야 한다고 뜻을 함께하고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국가재정전략회의를 주재하면서 “정치적으로 재정 건전성이 흔들릴 수 있는 여러 요인이 나오고 있지만, 우리가 논의를 하고 국민에게 뜻을 전달해 국민의 지지에 의해 정치권이 지금 가진 여러 위험 요소를 막고 지키겠다는 의지를 갖추려고 모였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히 이 대통령은 “이것(재정 건전성)은 우리 정권이 아니라 다음 정부를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일이기 때문에, 이것은 확고히 우리 정부가 지켜나가는 게 역사적 소명”이라고 강조했다.

또 “2008년 금융 위기와 2010년 유럽 재정 위기, 이런 것들을 우리가 다른 나라보다 성공적으로 극복할 수 있었던 것은 여러 요인이 있지만 무엇보다 대한민국에 재정 건전성이 있어서이다”라며 “IMF(국제통화기금) 등도 우리나라의 재정 건전성을 지키려는 의지를 높이 평가한다”고 말했다.

이 같은 언급은 연말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정치권에서 복지 포퓰리즘(인기영합주의) 경쟁이 일면서 자칫 재정 건전성을 해칠 가능성을 경계한 것이라고 청와대 측은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유럽 사회에서 그리스나 스페인 등 여러가지(위기 사례)를 반면 교사로 삼아야 한다”면서 “과거의 역사가 아니라 오늘날 우리와 함께 나가고 있는 유럽 국가들이 겪는 현실을 우리가 보면서, 이를 반면교사로 삼지 않으면 매우 어리석은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금년에 선거가 두 번, 한 번은 치렀지만, 한 번 더 큰 선거를 치르는 과정에 우리 여러가지 환경이 좋은 것은 아니다”라며 “좋지는 않지만 이런 때일수록 우리 정부가 중심을 잡고 일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우리가 조금 안일하게 생각하고 좌고우면해서 일을 그르치게 되면 우리는 역사에 아주 나쁜 전례를 만들게 될 것”이라며 “역사에 부끄러움 없이 (훗날) 그때 이렇게 했기 때문에 대한민국이 지속적 성장을 하게 됐다는 얘기를 10~20년 후에 들을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10~20년 후에 세계적 경제 위기를 모면하려고, 그때 정부가 그렇게 했기에 오늘 대한민국이 고통을 겪는다는 얘기를 들어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여기에서 소명의식을 확실히 가져야 한다”면서 “국무위원들, 공직자 한 사람 한 사람이 그런 자세로 금년 한해를 넘겨야 한다”고 당부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