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지명직 최고위원 확정 의미
새누리당 지명직 최고위원으로 3일 이정현 전 의원과 김진선 전 강원지사가 확정됐다.김영우 대변인은 이날 오전 여의도당사에서 브리핑을 하고 이 같은 내용의 임명안을 발표했다. 두 최고위원에 대한 인선은 지역 표심을 가장 염두에 둔 것으로 읽힌다.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6/04/SSI_20120604010458.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6/04/SSI_20120604010458.jpg)
새누리당의 최대 불모지인 호남과 4·11 총선에서 9석 전석을 몰아 준 강원에 대한 배려의 의미를 담고 있다. 당초 일부 최고위원들 사이에서는 지명직 최고위원으로 새누리당 지지세가 약한 청년이나 여성을 배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으나 결국 두 자리 모두 지역 안배로 채워졌다. 청년, 여성 등 젊은 세대 가운데 마땅한 인물을 찾기도 어려웠다는 후문이지만 대선 국면을 앞두고 새누리당이 권역별로 균형을 맞추는 데에 더 방점을 찍은 것으로 보인다.
김 대변인은 두 최고위원 인선 배경에 대해 “이 전 의원은 총선 때 새누리당 약세 지역인 광주에서 높은 득표율을 보여 당세를 확장하고 지역주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기여한 점을 크게 고려했다.”면서 “김 전 지사는 3선 강원지사 출신으로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 개최에 대한 당의 확고한 의지를 담는 동시에 총선 때 강원도민들이 보여준 성원과 지역 간 균형적인 안배를 감안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도부 9명 중 8명 친박 포위
이 전 의원은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의 대변인 격으로 활동해 온 친박(친박근혜)계 핵심 인물로 꼽힌다. 지난 17대 총선에 이어 이번에도 광주 서을에 출마했지만 지역주의 장벽을 넘지 못하고 고배를 마셨다. 그러나 17대 총선 때 불과 720표로 1%의 지지율을 얻었던 것과 달리 이번 총선에서는 총 2만 8000여표로 유효표 40%의 득표율을 얻는 등 크게 선전했다.
김 전 지사는 1998년 민선 2기 강원지사에 당선된 뒤 내리 3선에 성공하면서 10년 이상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에 앞장섰다. 공직에서 물러난 뒤에도 평창올림픽유치 특임대사, 대통령 지방특보 등을 역임하며 평창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 애썼다. 현재도 평창올림픽 조직위원장을 맡고 있다.
두 사람의 임명으로 새누리당 최고위원단 구성도 마무리됐다. 특히 전체 9명 가운데 심재철 최고위원을 제외한 나머지 8명이 모두 친박 성향으로 꾸려졌다.
허백윤·최지숙기자
baikyoon@seoul.co.kr
2012-06-04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