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천정배, 참여정부 동지서 ‘호남패권’ 정적으로

문재인-천정배, 참여정부 동지서 ‘호남패권’ 정적으로

입력 2015-04-30 16:05
업데이트 2015-04-30 16: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17년 대권·야권재편 이루려면 상대방 밟고 가야하는 운명광주서 외면당한 文, 그 뿌리는 참여정부 분당·대북특검

노무현 정부의 창업과 수성(守城) 동지였던 문재인과 천정배, 두 정치인이 향후 호남 패권을 둘러싼 ‘외나무 다리’ 승부를 벌여야 하는 정적(政敵)으로 마주치게 됐다.

천정배 의원이 탈당을 감행하면서 4·29 재보선에서 문재인 대표의 참패를 초래한 ‘비수’를 꺼내들면서 ‘악연’은 이미 시작됐다.

문 대표에게 무엇보다 뼈아픈 게 야권의 ‘심장부’인 광주 서을에서 천 의원에게 당한 패배이기 때문이다.

선거 때마다 든든한 지지기반이었던 광주 패배로 인해 당장 천 의원이 세운 깃발을 기치로 내년 총선 때 새정치연합과 경쟁하는 호남 정치결사체 또는 신당 추진 움직임이 가시화되는 등 ‘안방의 반란’이 발등의 불이 된 상황이다.

’천정배 지지’로 가시화된 호남 민심의 이반은 친노(친노무현)세력에 대한 강한 거부감이 배경에 깔려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어 문 대표로선 차기 대권가도에도 ‘적신호’가 켜진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갈등의 뿌리는 13년 전인 2002년 대선 경선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호남은 부산 출신인 노무현 후보에게 몰표를 줌으로써 ‘노풍(盧風·노무현 바람)’의 진원지가 됐고, 노 후보는 여세를 몰아 대통령에 당선됐다.

하지만 노 대통령이 당선 직후 김대중(DJ) 대통령 시절 대북송금에 대한 특검을 수용, 호남 민심이 노 전 대통령측으로부터 등을 돌리는 계기가 됐다.

당시 특검으로 박지원 의원을 비롯해 김대중 정부 핵심인사들이 구속됐고 동교동계는 “배신행위”라고 노 전 대통령을 비난했다.

양측의 갈등은 결국 2003년 열린우리당과 새천년민주당의 분당 사태로 이어졌다. 이 과정에 노 전 대통령이 “호남이 좋아서 나(를) 찍었겠나”라고 발언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호남 민심은 큰 상처를 입었다.

또 2006년 5.31 지방선거를 앞두고 문 대표가 “대통령도 부산출신인데 부산시민들이 왜 부산정권으로 안 받아들이는지 이해가 안된다”는 부산 시민을 향한 ‘하소연성’ 발언이 보도되는 과정에서 ‘부산정권’ 단어로 호남쪽의 반발을 일으켰다.

우여곡절끝에 분당 8년 만인 2011년 12월 민주통합당이라는 한 지붕 아래 다시 모여 봉합되는 듯했다.

그리고 2012년 대선에서 광주는 당시 문 후보에게 92%라는 압도적 지지를 보냈다. 하지만 낙선 이후 문 대표가 호남을 제대로 보듬지 못했다는 비판이 이어졌다.

잠잠하는 듯했던 갈등은 2·8 전당대회 때 문 대표와 호남 출신 박지원 의원이 경선 룰 개정을 두고 ‘벼랑 끝 공방’을 벌이며 다시 한번 수면 위로 떠올랐다.

선거 초반 동교동계가 재보선 지원을 거부하는 해프닝이 있었던 것도 그 연장선이었다.

천 의원이 탈당을 결행한 것도 호남 민심의 흐름을 배경으로 했다는 분석이다.

참여정부 탄생의 ‘1등 공신’에 속하는 문 대표와 천 의원은 청와대 비서실장과 법무장관을 지내며 노무현 대통령을 보좌했다.

하지만 이번 선거에서 천 의원은 ‘새정치연합 심판론’을 내걸었고 문 대표를 향한 회초리를 호소했다. 또 당선 일성으로 호남 지역에서 새정치연합과의 경쟁체제 구축을 선언했다.

호남 신당 창당까지 염두에 두면서 문 대표가 주도하는 새정치연합의 지지기반을 허물고 야권 새판짜기를 본격화하겠다는 ‘선전포고’ 인 셈이다.

문 대표의 2017년 대선가도에는 장애물 ‘천정배’가 도사리게 된 셈이고, 천 의원의 야권 재편 실현을 위해서는 문 대표 체제에 구멍을 내야 하는 운명에 처하게 됐다.

정치적 동지가 명운을 건 정적으로 전환되는 순간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