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북한의 인신공격성 비방과 중상 강력 규탄”

정부 “북한의 인신공격성 비방과 중상 강력 규탄”

입력 2015-05-22 11:19
업데이트 2015-05-22 11: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부는 22일 “최근 북한이 우리 국민을 대표하는 국가원수인 대통령에 대해 차마 입에 담지 못할 인신공격성 비방과 중상을 일삼는 것에 대해 강력히 규탄하다”고 밝혔다.

임병철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대변인 논평에서 “북한이 북한이탈주민 등 우리 주민을 비방 중상하고 신변을 위협하는 것은 물론 우리 측에 군사적 위협을 가하는 행위를 강력히 규탄한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 정부는 북한의 어떤 도발 행위도 용납하지 않고 단호하게 대응할 것임을 분명히 한다”면서 “북한이 최소한의 예의와 상식, 국제 규범을 무시한 원색적이고 저열한 표현에 대해 자숙하라”고 촉구했다.

임 대변인은 또 최근 북한이 박근혜 대통령의 대북 이산가족 상봉 촉구 발언을 비난한 것에 대해 “북한이 이산가족 만남이라는 순수한 문제를 아무 관계 없는 정치군사적 사안과 연계하는 것은 정당화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분단 70년을 이어오면서 수 많은 이산가족들이 만날 기회는 커녕 가족의 생사조차 알지 못한 채 유명을 달리하고 있다”면서 “이산가족을 상처주는 행태를 중단하고 문제 해결에 책임 있는 태도를 보이라”고 당부했다.

임 대변인은 24일 방북 중인 위민크로스DMZ(WCD) 단원들이 북한 찬양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진 것과 관련, “북한매체 보도내용이 사실이라면, 정부가 당초 이해하고 있는 비정치적 평화운동이라는 행사 취지와는 거리가 먼 것으로 본다”고 해석했다.

그는 이어 “우리 정부는 이들이 입국한 이후 대한민국의 법 질서에 입각해 행사를 진행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임 대변인은 다만 “북한 매체의 보도 내용에 대한 사실 관계가 확인되지 않은 상황에서 입경 허용이나 국내 행사 개최 허용 여부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