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보 후퇴’ 문재인…재신임, 칼집에 아직 넣지 않았다

‘1보 후퇴’ 문재인…재신임, 칼집에 아직 넣지 않았다

입력 2015-09-13 11:00
업데이트 2015-09-13 11: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비주류 압박 카드로 유효’혁신·비전·기강’ 속도낼 듯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13일 실시 예정이던 자신의 재신임투표를 연기하며 ‘가급적 추석 전 마무리’쪽으로 시점을 양보하며 재신임 정국에서 한 발 물러났다.

당 내홍 속에 비주류의 사실상 사퇴 압박에 시달려온 문 대표는 지난 9일 재신임 카드를 던지며 정면승부에 나섰지만 연이틀 중진과의 회동을 거쳐 투표시기를 한 템포 늦추기로 한 것이다.

그러나 재신임투표 연기는 2보 전진을 위한 1보 후퇴라는 해석이 나온다.

재신임 시점을 뒤로 물리면서 외견상 문 대표가 양보한 것처럼 보이지만 재신임 카드는 여전히 살아있기 때문이다. 유연성을 발휘하면서도 대표직을 내건 모험을 통해 당의 주도권을 쥐는 드라이브는 다시 걸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투표를 실시하면 재신임 가능성이 더 높다는 항간의 관측에 근거한다. 재신임을 받으면 문 대표를 공격해온 비주류는 설 자리가 좁아질 수밖에 없다.

다시 말해 문 대표로선 비주류를 견제하고 당 장악력을 높이기 위한 유효한 수단으로 재신임 카드를 여전히 쥐고 있다는 뜻이다.

그러나 문 대표가 16일 중앙위 부결시 대표직에서 물러나겠다고 밝힌데다 재신임투표 역시 투표방식을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결과를 예측하기 힘들다는 관측도 적지 않아 재신임을 장담할 수 없다는 시각도 있다.

일각에서는 재신임투표가 물건너갔다는 전망까지 내놓지만 문 대표 측은 시기의 조정일 뿐, 투표 실시 입장 자체는 변함이 없다고 말한다.

여기에는 문 대표가 자신이 전당대회 때 두 번째 죽을 고비로 언급한 ‘당을 살리는 길’을 궤도에 올리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고, 이를 위해 재신임을 통한 리더십 회복이 시급하다는 인식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

문 대표 측은 “문 대표는 혁신작업의 지속적 추진, 당의 비전 제시, 기강과 규율 확립을 역점 과제로 생각하고 있다”며 “총선일정을 감안하면 시간이 매우 촉박하다. 더이상 좌고우면하기에는 이미 ‘루비콘 강’을 건넜다”고 말했다.

문 대표 측은 문 대표가 중진과의 회동에서 중앙위원회를 늦춰달라는 제안을 끝내 수용하지 않은 것은 혁신안에 대한 의지를 보여준 것이라고 강조한다. 혁신위 활동이 종료되면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회 인선, 인재영입위원장 영입 등 후속 작업이 산더미처럼 쌓여있다는 게 문 대표측 설명이다.

당의 새로운 비전 제시는 문 대표가 재신임투표를 공식화한 회견 때 밝힌 ‘뉴 파티(New Party) 비전’으로 구체화하고, 핵심은 안철수 전 공동대표, 박원순 서울시장, 안희정 충남지사 등 대선주자급 인사들이 참여하는 ‘희망 스크럼’이 될 전망이다.

문 대표로선 당의 기강과 규율 확립도 중요한 요소로 보고 있다. 분열과 갈등이 일상화되다시피 한 당의 정상화를 위해서는 해당행위자, 분열주의자에 대한 단호한 대응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문 대표 측은 “당의 안정화를 위해 한 번은 칼을 휘두를 수밖에 없다”며 “당을 살리는 길이라면 논란이 생기더라도 정면 돌파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런 맥락에서 문 대표는 산적한 과제를 풀어나가고 비주류를 견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재신임 카드를 쥐고 적절히 활용할 것이라는 관측이 높다.

이 과정에서 재신임투표 시기가 국정감사 이후로 다시 연기될 수는 있겠지만 투표 자체가 철회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는 게 현재 문 대표측의 대체적인 기류다.

한 측근은 “재신임 과정이 없으면 뭘 해도 비주류가 반대하는 악순환을 반복하며 끌려다닐 수밖에 없다”며 “재신임에 대한 문 대표의 입장은 단호하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