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장 “의원정수 유지하면서 비례대표제 개선해야”

정의장 “의원정수 유지하면서 비례대표제 개선해야”

입력 2015-10-20 10:13
업데이트 2015-10-20 10: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관훈클럽 토론회 “20대 국회에 새 정치질서 등장해야””대통령 5년단임·소선거구제·공천시스템 획기적 변화 필요”

정의화 국회의장은 20일 내년 ‘총선룰’과 관련, “중대선거구제 도입이 늦었다면 소선거구제를 유지하면서 비례대표제도를 개선하고, 현재의 의원 정수 내에서 합리적인 대안을 찾는 게 차선책”이라고 말했다.

정 의장은 이날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모두발언을 통해 “여야가 (선거제도) 논의를 시작했지만 근원적 개혁은 커녕 의원정수, 지역구·비례대표 의석 비율조차 합의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 의장은 20대 국회에서는 개헌을 통해 권력구조, 선거제도, 공천제도의 획기적 변화를 이끌어냄으로써 ‘정치의 틀’을 근본적으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대통령 5년 단임제, 국회의원 소선거구제, 공(公)천이 아닌 사(私)천의 폐단을 반복해온 공천시스템은 사생결단식 적대의 정치, 승자독식과 줄세우기 정치를 불러와 국민의 정치 불신·국회 불신의 근본원인이 되고 있다”면서 개헌 필요성을 거듭 주장했다.

특히 “개헌을 통해 권력구조를 분권과 협치가 가능하도록 바꾸고, 중대선거구제와 권역별 비례대표제 등을 통해 국민들의 다양한 정치욕구가 반영돼야 한다”면서 “공정성·투명성, 합리성을 갖춘 공천제도가 필요하다는 게 제 오랜 소신”이라고 강조했다.

정 의장은 “19대 국회에서 모든 것을 마무리하기에는 늦었지만 20대 국회에서는 반드시 새로운 정치질서가 등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