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대통령, “盧대통령도 강조한 정책 반대 순수한가” 경제활성화·노동개혁 등 野 향한 ‘작심’ 발언

朴 대통령, “盧대통령도 강조한 정책 반대 순수한가” 경제활성화·노동개혁 등 野 향한 ‘작심’ 발언

이슬기 기자
입력 2015-12-08 16:27
업데이트 2015-12-08 16: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박근혜 대통령이 8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제53회 국무회의에서 모두발언하고 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박근혜 대통령이 8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제53회 국무회의에서 모두발언하고 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박근혜 대통령이 정기국회 회기 종료를 하루 앞둔 8일 경제활성화 법안과 노동개혁 등을 반대하는 야당을 성토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과 야당의 참여정부 집권시절 정책까지 거론하며 ‘작심’ 발언을 쏟아냈다.
 
프랑스·체코 순방을 마치고 귀국한 지 이틀 만인 전날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원유철 원내대표를 청와대로 불러 여과 없는 표현을 동원해가며 절박한 심경을 환기시킨 데 이어 야당에 대한 압박강도를 더욱 높인 것이다.

박 대통령이 지난달부터 국무회의서 공개적으로 법안 처리와 관련해 정치권에 직격탄을 날린 것은 지난달 10일과 24일 국무회의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경제활성화 법안과 노동개혁 법안이 이번 정기국회와 이어질 임시국회에서 처리되지 못한다면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사실상 19대 국회 임기 종료와 함께 법안이 자동폐기될 수 있다는 절박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박 대통령은 국민의 일자리와 삶에 직접적인 이익을 가져오는 법안들을 야당이 가로막고 있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박 대통령은 최근까지 법안 처리 지연에 대해 국회와 정치권이라는 말로 에둘러 비판했으나, 여당이 박 대통령 뜻에 호응해 총력전에 나선 상황에서 정기국회 막판 법안 처리에 반대하고 나선 야당에 화력을 집중한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명분과 이념의 프레임에 갇힌 기득권 집단의 대리인“,”노동시장 개혁 거부는 청년과 나라의 미래에 족쇄“라는 표현을 써가며 사실상 야당을 겨냥했다.

특히 박 대통령은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과 관련해 야당이 집권 시절 추진한 내용을 입장이 바뀌어 반대한다고 꼬집었다.

박 대통령은 참여정부가 교육과 의료를 포함한 서비스산업 경쟁력 강화대책을 수차례 발표한 점을 들며 ”집권하던 시절에 적극 추진하던 정책을 이제 와서 반대한다면 과연 누가 그 뜻을 순수하게 받아들일 수 있겠는가“라며 야당을 압박했다.

또한 ”노무현 전 대통령도 신년 연설에서 일자리를 위해서는 의료서비스 분야가 중요하다고 강조한 바 있다“라며 ”이제 와서 보건의료 분야를 제외하자고 하면서 법통과를 안 하는 것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기업활력제고법과 관련해서도 ”공급 과잉과 수출 감소 등으로 어려움에 처한 기업들이 스스로 선제적으로 구조조정할 경우 정부가 지원해 우리 경제의 체질을 더 튼튼하게 하는 법“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날 국무회의가 애초 청와대와 세종시를 영상으로 연결하는 국무회의로 잡혀있다가 국무위원들을 모두 청와대로 소집한 일반 국무회의로 전환됐다는 점에서도 박 대통령의 의지를 엿볼 수 있다.

국무위원들을 직접 대면하면서 중점 법안 처리에 대한 의지를 전달하고, 내각이 이를 뒷받침하도록 다잡은 것이다. 박 대통령은 이날 14분의 모두발언 시간 대부분을 법안 처리 문제에 할애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