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발 늦게 경선레이스 돌입한 국민의당…‘흥행’이 최대 과제

한발 늦게 경선레이스 돌입한 국민의당…‘흥행’이 최대 과제

입력 2017-03-12 10:11
업데이트 2017-03-12 10: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선 일정 늦어진 데다 현장투표 특성상 국민참여 어려워동원선거 우려에 安·孫 측 감정 앙금도 불안 요소

국민의당이 대선 경선 룰을 확정하고 금주부터 본격적인 대선 경선체제로 전환한다.

주초 예비후보등록을 거쳐 각 주자가 출사표를 던지고 나면 경선구도가 짜여지면서 당 전체가 선거 열기에 휩싸일 것으로 전망된다.

국민의당은 휴일인 12일에도 최고위원회를 열어 전국순회투표 일정을 비롯한 세부 사항을 논의하는 등 대선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우여곡절 끝에 룰 협상은 마무리했지만, 경선과정에서 풀어야 할 과제가 적지 않아 보인다.

일단 ‘흥행’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야권의 라이벌인 더불어민주당이 1차 선거인단 규모만 160만명을 넘길 정도로 흥행을 거두고 있지만 국민의당 경선에 대한 국민적 관심은 상대적으로 낮아 보인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민주당은 이미 1월24일에 룰을 확정하는 등 일찌감치 경선 준비에 돌입했다. 후보 간 토론회도 총 10번 개최하기로 하는 등 당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분위기 띄우기’에 나설 채비를 하고 있다.

그러나 국민의당은 애초 경선준비가 늦었던데다 지난달 말에 끝내기로 한 룰 합의도 보름 넘게 지연되면서 ‘바람몰이’를 할 물리적 시간 자체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오는 25일부터 전국순회경선을 시작해 4월 첫 주에 최종후보를 선출하는 빡빡한 시간표 속에서 흥행요소가 될만한 일정을 반영하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국민의당은 6~8회 정도 전국순회경선을 실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민주당은 4회만 치른다.

80%로 비율로 반영하기로 하면서 승부의 결정적 관건이 된 현장투표는 민주주의 선거 원칙에 더 부합하는 장점이 있지만 투표행태의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고 유권자들의 폭넓은 참여를 유도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없지 않다.

특히 일반인 참여가 쉬운 모바일·인터넷 투표가 원천적으로 배제되면서 경선 참여 규모 자체가 민주당보다 훨씬 더 적을 수밖에 없다.

또 평일 일과시간에 직접 투표소를 찾아야 하는 현장투표의 특성상 평범한 유권자의 자발적 참여보다는 각 후보 측의 조직동원 경쟁, 속칭 ‘버스 떼기’로 경선이 치러질 가능성이 있다.

이 과정에서 각 후보 측의 조직동원을 놓고 잡음이 빚어진다면 해당 후보는 물론이고 당 전체 이미지가 훼손돼 결국 본선 경쟁력이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공공연하게 제기된다.

경선 룰 협상 과정에서 쌓인 안철수 전 대표 측과 손학규 전 대표 측 사이 감정의 앙금도 내부 갈등으로 비화할 여지가 있다.

손 전 대표 측은 경선 불참을 불사하고 ‘안철수 사당(私黨)’이라는 표현까지 동원하는 등 ‘벼랑 끝 전술’을 썼고, 안 전 대표 측에서도 “손 전 대표가 들어왔지만, 경선의 시너지 효과가 없다”라는 식으로 불만을 공공연하게 표출했다.

당에서는 각 후보가 공정하고 깨끗한 경쟁을 다짐하는 ‘신사협정’을 맺는 등 여러 가지 방안을 검토 중이지만 쉽게 극복하기 어려운 문제라는 지적이 나온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