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대화와 대결은 양립불가”…文정부에 메시지

北 “대화와 대결은 양립불가”…文정부에 메시지

입력 2017-05-19 07:45
업데이트 2017-05-19 09: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앙통신 “외세추종은 反통일, 대화있는 대결은 궤변”

북한이 19일 관영매체를 통해 “(남북간에) 대화와 대결은 절대로 양립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대북압박과 대화의 병행 기조를 밝혀 온 문재인 정부에 비판적인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해석된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김명철’이라는 개인 명의로 게재한 ‘북남관계와 통일운동의 앞길에 엄중한 장애를 조성하였던 유신 독재자의 만고죄악에서 교훈을 찾아야 한다’는 제목의 정세논설에서 “대화 있는 대결은 양립 불가한 궤변”이라고 비난했다.

이 글은 형식상 5·16쿠데타 발생 56년을 맞아 남북 간 대결과 ‘7·4 남북공동성명’ 발표 등 대화가 공존했던 박정희 전 대통령의 대북정책을 비난하는 방식을 취했다.

논설은 “박정희 역도가 저지른 죄악 중에 가장 큰 죄악은 민족의 분열을 영구화하기 위해 ‘대화 있는 대결’을 떠들어대며 북과 남이 합의한 통일 대강을 서슴없이 줴버리고(저버리고) 극악한 동족대결 책동에 집요하게 매달린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동족 간에 반목과 대결을 고취하면서 민족의 화합과 관계 개선을 이룰 수 없으며 조선의 분열과 침략전쟁을 꾀하는 외세에 추종하면서 민족 자주와 나라의 평화통일을 이룩할 수 없다는 것은 자명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논설은 “대결은 분열이며 외세추종은 반(反)통일”이라며 “앞에서는 ‘대화’를 표방하고 뒤에서는 사대 매국과 동족대결을 추구”한 박정희 전 대통령에게서 ‘뼈저린 교훈’을 찾으라고 요구했다.

그러면서 “외세에 추종하며 동족을 불신하고 적대시하던 낡은 시대와 단호히 결별하여야 한다”며 “그가 누구이든 진정으로 북남관계 개선과 조국통일을 원한다면…(중략)…민족을 위한 새 출발을 하여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한미관계를 겨냥해 “우리 민족의 운명과 근본 이익을 농락하고 침해하려는 침략적인 외세와 그 추종세력들의 비열한 책동이 극도에 달하고 있는 오늘 민족의 진정한 주적이 누구인가를 똑바로 가려보아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는 새로 들어선 문재인 정부가 북한의 최근 ‘화성-12’ 탄도미사일 발사 등을 계기로 ‘북한의 태도 변화가 있을 때 비로소 대화가 가능할 것’이라는 인식을 나타내며 다소 신중한 대북정책 기조를 보이는 데 대한 견제로 보인다.

문재인 정부는 강력한 대북압박을 추진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와도 별다른 파열음을 내지 않고 있다.

북한의 핵 도발에 단호하게 대응한 문재인 정부의 태도를 관영 매체를 통해 본격적으로 문제 삼으면서 남북관계 ‘힘겨루기’에 시동을 거는 것으로 보인다.

북한 노동당 통일전선부의 외곽기구인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아태평화위)도 전날 발표한 대변인 담화에서 “새로 집권한 남조선 당국이 이번 (미사일) 시험발사의 사변적 의의를 외면하고 무턱대고 외세와 맞장구를 치며 온당치 못하게 놀아대고 있다”며 문재인 정부를 처음으로 공개 비난했다.

북한은 19일 대내용 매체인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에도 아태평화위 대변인 담화와 ‘김명철’의 정세논설 전문을 실었다.

노동신문은 같은 날 ‘폭제와 불의를 불사르는 자주의 핵강국’이라는 제목의 정세논설에서는 “미국과 그 추종세력들이 제정신을 차리고 올바른 선택을 할 때까지 고도로 정밀화, 다종화된 핵무기들과 핵타격 수단들을 더 많이 개발, 배비(배치)할 것”이라며 핵포기 의사가 없다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