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권 타진하는 홍준표, ‘이회창 모델’ 따르나

당권 타진하는 홍준표, ‘이회창 모델’ 따르나

입력 2017-05-21 10:10
업데이트 2017-05-21 10: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하루 1.7건 ‘페북정치’로 당대표 도전 염두 시사

자유한국당 대선후보로 출마했던 홍준표 전 경상남도지사가 올해 여름 전당대회에서 차기 당권 도전을 타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이회창 모델’을 따르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정가에 돌고 있다.

홍 전 지사가 직접 당대표 출마를 언급한 적이 없고 아직은 그럴 만한 상황이 아니라는 게 주변의 이야기지만, 5·9 대통령선거 낙선 후 행보를 보면 최소한 도전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대선 다음날인 지난 10일부터 19일까지 열흘 동안 모두 17건, 하루 평균 1.7건의 페이스북 글을 올리며 문재인 정권 비판과 당 혁신을 주제로 목소리를 높여온 것이 그 근거다.

홍 전 지사의 이런 정치 행보는 20년 전 대선 패배 후 이듬해 제1야당의 ‘선장’으로 재기한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를 연상케 한다.

낙선 후 정계를 떠나거나 한동안 은인자중했던 다른 후보들과 달리 별다른 정치적 공백기를 갖지 않고 화려하게 부활, 당권을 발판으로 재도전의 계기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홍 전 지사가 눈여겨 볼만한 시나리오가 될 수 있다.

한국당 계열 보수 정당이 대선에서 패배한 것이 1997년과 2002년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이고, 앞선 두 차례 낙선자가 모두 이 전 총재라는 점에서 그의 모델을 참고할 수밖에 없는 측면도 있다.

이 전 총재의 경우 1997년 12월 김대중 전 대통령에게 1.6%포인트 차로 분패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서울시장 출마설’, ‘종로 보궐선거 출마설’, ‘총재 경선 출마설’ 등 다양한 복귀 시나리오가 주변에서 떠돌기 시작했다.

당내에서 존재감을 유지하던 이 전 총재는 1998년 8월 전당대회에서 55.7%의 과반 득표로 신임 총재로 선출돼 2002년까지 당권을 지키며 차기 대선에 재도전할 수 있었다.

당시 ‘계파정치 탈피’와 ‘당 쇄신작업’의 필요성을 강조한 이 전 총재의 경선 전략은 페이스북을 통해 연일 친박(친박근혜)계 청산과 전면 쇄신을 요구하는 홍 전 지사의 메시지와 닮았다.

당권을 차지한 뒤 이 전 총재가 1999년 6월 서울 송파갑 국회의원 재선거를 통해 원내로 재진입한 것도 주목할 만하다. 홍 전 지사 역시 당대표 선출 여부와 관계 없이 내년 서울 지역 국회의원 재보선 또는 지방선거에 출마할 수 있으리라는 예상이 벌써부터 나오고 있어서다.

공교롭게도 당시 이 전 총재가 당선된 송파갑 지역구를 넘겨준 당사자가 홍 전 지사라는 점도 흥미롭다. 1997년 대선에서 ‘이회창 전위대’ 또는 ‘김대중 저격수’로 불리던 홍 전 지사는 선거법 위반으로 의원직을 상실한 뒤 자신의 지역구에 “이 총재가 출마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런 인연에 더해 홍 전 지사 역시 이 전 총재의 뒤를 이어 대선 패배 후 곧바로 당권을 장악하는 두 번째 사례가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