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투 운동 좋게 본다’ 68% vs ‘좋지 않게 본다’ 20% [갤럽]

‘미투 운동 좋게 본다’ 68% vs ‘좋지 않게 본다’ 20% [갤럽]

강경민 기자
입력 2018-03-23 11:15
업데이트 2018-03-23 11: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0명 중 3명 “성범죄 피해당했거나 피해 사실 들은 적 있다”

과거의 성폭력 피해를 폭로·고발하는 ‘미투’(Me too·나도 당했다)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는 가운데 국민 10명 가운데 7명은 이 운동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23일 나왔다.
지난 15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미투 운동과 함께하는 범시민행동 출범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미투, 위드유’ 손팻말을 들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15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미투 운동과 함께하는 범시민행동 출범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미투, 위드유’ 손팻말을 들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갤럽이 지난 20~22일 전국 성인 1천3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에 따르면 응답자의 68%는 ‘미투 운동을 좋게 본다’고 답변했다.

‘좋지 않게 본다’는 답변은 20%였으며, 12%는 의견을 유보했다.

미투 운동에 대한 긍정적 평가는 여성 69%, 남성 68% 등으로 성별에 따른 차이는 거의 없었다.

다만 연령별로는 20대(77%)와 30대(73%)에 비해 60대 이상(56%)에서의 긍정 평가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긍정 평가를 한 응답자들은 그 이유로 ‘감춰진 사건들이 밝혀짐·과거 바로잡기’(21%), ‘사회적 변화·개혁 필요’(15%), ‘권력·지위 남용·갑질 문화 해소’(10%), ‘성평등·성차별 해소·여권 신장’(8%) 등을 꼽았다.

반면 부정평가자들은 ‘너무 오래된 된 일·지나간 일 들춤’(19%), ‘정치적으로 이용됨’(18%), ‘지나침·과함·너무 각박함’(15%), ‘가해자로 지목된 사람 피해 너무 큼·사회적 매장’(12%), ‘사회적 혼란·시끄러움’(12%) 등을 이유로 들었다.

‘성희롱·성추행 등 성범죄 피해를 당했거나 가족, 친구, 동료 등 지인의 피해 사실을 들은 적 있느냐’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30%가 ‘있다’고 밝혔다.

성별로는 남성(24%)보다는 여성(36%)에서 이런 답변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나왔으며, 특히 20대 여성(43%)과 30대 여성(47%)에서 이런 답변을 내놓은 비중이 높았다고 갤럽은 전했다.

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갤럽 홈페이지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