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국정지지율 67.6%, ‘김기식·드루킹’ 악재에도 반등

문 대통령 국정지지율 67.6%, ‘김기식·드루킹’ 악재에도 반등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4-19 09:30
업데이트 2018-04-19 10: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리얼미터 조사서 전주 주간집계보다 0.8%p 상승…“남북정상회담 긍정 소식 영향”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지지율이 반등해 60%대 중반을 기록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9일 나왔다.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청와대에서 열린 ’제2차 반부패정책협의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청와대에서 열린 ’제2차 반부패정책협의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리얼미터가 tbs의 의뢰로 지난 16일~18일 전국 성인 1천502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95% 신뢰 수준에 표본오차 ±2.5%포인트)에 따르면 문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해 ‘잘한다’고 평가한 응답자는 지난주 주간집계보다 0.8%포인트 오른 67.6%로 집계됐다.

‘잘하지 못하고 있다’는 답변은 27.9%로 1.2%포인트 올랐다.

문 대통령의 국정지지율은 2주간의 하락세를 멈추고 반등했다.

리얼미터는 “민주당원 댓글조작(드루킹 사건) 파문과 김기식 금융감독원장 사퇴라는 악재에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종전문제 논의 축복’ 발언 등 4·27 남북정상회담과 관련한 긍정적인 소식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일간 집계로 보면 지난 13일 67.5%를 기록한 지지율은 드루킹 사건 논란이 확산하고 김기식 전 원장이 사퇴 의사를 표명한 16일 66.3%로 내려갔고, 드루킹 사건과 관련한 야당의 특검 요구 공세가 이어진 17일에는 65.7%로 하락했다.

하지만 한반도 평화체제 확립 이슈를 비롯한 남북정상회담 관련 소식이 전해진 18일 문 대통령의 지지율은 68.7%로 올랐다.

지역별로 보면 대전·충청·세종(66.3%·6.8%p↑), 부산·경남·울산(66.2%·5.0%p↑), 광주·전라(88.1%·3.0%p↑), 대구·경북(52.2%·2.0%p↑)에서 상승했으나 경기·인천(68.3%·3.1%p↓)에선 하락했다.

연령별로는 20대(71.0%·3.0%p↑), 60대 이상(56.1%·1.7%p↑), 50대(67.6%·1.3%p↑) 순으로 상승 폭이 컸다.

반면 40대(74.4%·1.0%p↓)와 30대(72.8%·1.0%p↓)에선 떨어졌다.

정당 지지도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2.8%포인트 오른 53.2% 지지율로 1위를 지켰다.

민주당의 지지율은 드루킹 사건을 둘러싼 야당의 공세에도 지난 3주간의 하락세를 마감하고 올랐다.

자유한국당은 21.4%(0.5%p↓)로 소폭 하락하며 지난 4주 동안의 상승세가 멈췄다.

다만 한국당의 지지율은 5주째 20%대를 유지했다.

바른미래당과 정의당의 지지율은 각각 6.2%, 4.0%로 집계됐다.

바른미래당은 0.5%포인트 올랐고, 정의당은 0.2%포인트 내려갔다.

민주평화당은 3.4%(0.1%p↑)의 지지율로 2주째 3%대를 유지했다.

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리얼미터 홈페이지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