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의 통일 인식] 10명 중 7명 “국방비 절감·北자원 활용”…빈부격차·부동산 투기·이념갈등 우려도

[청년들의 통일 인식] 10명 중 7명 “국방비 절감·北자원 활용”…빈부격차·부동산 투기·이념갈등 우려도

문경근 기자
문경근 기자
입력 2018-11-27 22:14
업데이트 2018-11-28 09: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통일 효과·방식은

“대등한 통일” vs “흡수통일” 팽팽

20대 젊은층은 ‘통일’이 우리 사회가 직면한 여러 문제들을 해결할 ‘중요한 돌파구’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국회 외교통일위원장실(위원장 강석호 자유한국당 의원)의 설문조사 결과 통일이 되면 우선 국방비 등 경제적 손실 최소화에서 ‘다소 또는 매우 이익이 있다’는 답변은 71.5%로 ‘전혀 또는 매우 이익이 없다’는 답변(28.5%)보다 2배 이상 많았다.

통일이 되면 북한 지하자원 활용 측면도 ‘이익이 있다’는 응답이 75.8%로 ‘그렇지 않다’는 응답(24.2%)보다 높았다. 또 통일이 되면 ‘주변국 개입을 방지할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한 응답도 긍정(67.7%)이 부정(33.3%)을 훨씬 웃돌았다.

이 밖에도 ‘중국, 유럽 등 물류비용 감소’에 대해서도 긍정 76.5%, 부정 23.5%로 통일 효과에 대해 높은 점수를 줬다. 또 통일이 되면 ‘노동인구가 증가할 것’이라고 보는 응답자가 74.1%로 ‘그렇지 않다’는 응답자 25.9%보다 곱절이나 많았다.

다만 응답자들은 남북통일이 긍정적 요인만이 아니라 또 다른 사회적 갈등도 야기할 것으로 내다봤다. 빈부 격차가 악화될 것이란 응답에서도 60.5%는 ‘그렇다’, 19.9%는 ‘차이 없음’을, 19.6%는 ‘개선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부동산 투기에서도 52.5%는 ‘악화될 것’이라고 봤고, 23.5%는 ‘차이 없음’, 24%는 ‘개선될 것’으로 봤다. 이념 갈등과 관련해서도 66.5%는 ‘악화될 것’이라고 봤고, 16.2%는 ‘차이 없음’, 17.3%는 ‘개선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런 가운데 대학생들이 생각하는 통일 방식은 ‘남북이 대등한 입장에서 통일’이 39.7%, ‘남한의 북한 흡수통일’이 38.7%, ‘어떤 방식이든 상관없다’가 17.9%, 기타 3.7% 순으로 나타났다. 통일에 대한 정의도 ‘1체제 1국가’가 42.5%, ‘2체제 1국가’는 28%, ‘남북 간 통신·통행·통관’이 16.7%, ‘육로를 위한 통일’도 12.9%로 꼽았다.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2018-11-28 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