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정부 대북정책 긍정평가 59%…‘북미회담 결렬’ 영향은

문 정부 대북정책 긍정평가 59%…‘북미회담 결렬’ 영향은

입력 2019-03-01 11:44
수정 2019-03-01 12: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트럼프 미 대통령과 북미 2차정상 회담 관련 통화하는 문 대통령
트럼프 미 대통령과 북미 2차정상 회담 관련 통화하는 문 대통령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오후 청와대 관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를 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북미정상회담 결과에 공유하고 의견을 나눴다. 2019.2.28
청와대 제공
출범한 지 1년 10개월을 맞은 문재인 정부의 정책 중 대북·외교·복지정책에 대해서는 긍정평가가 우세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경제·고용노동·공직자 인사정책은 부정평가가 높다.

한국갤럽은 지난달 26∼28일 전국 성인 1002명을 대상으로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를 진행한 결과를 1일 발표했다.

이 조사에 따르면 대북정책에 ‘잘하고 있다’는 응답은 59%로, ‘잘못하고 있다’(29%)를 앞섰다.

외교정책도 ‘잘하고 있다’가 52%로, ‘잘못하고 있다’(28%)보다 많았고, 복지정책 역시 ‘잘하고 있다’ 54%, ‘못하고 있다’ 33%로 비슷한 수준으로 나왔다.

반면 경제 분야에 대해서는 부정평가가 긍정평가를 두 배 이상 앞질렀다. 경제정책과 고용노동정책에 대한 질문에는 ‘잘못하고 있다’가 각각 61%, 59%였다. 그러나 ‘잘하고 있다’는 각각 23%, 26%에 그쳤다.

공직자 인사정책은 ‘잘못하고 있다’ 46%, ‘잘하고 있다’ 26%로 조사됐다.

교육정책은 ‘잘못하고 있다’가 38%,‘잘하고 있다’ 33%로 엇비슷하게 나왔다.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직무 수행 긍정평가)는 지난주보다 4% 포인트 상승한 49%로 집계됐다. 부정평가는 42%, 의견 유보는 9%였다.

직무 수행 긍정평가의 이유는 ‘북한과의 관계 개선’(26%), ‘외교 잘함’(11%), ‘서민을 위한 노력·복지 확대’(9%)였다.

부정평가 이유로는 ‘경제·민생문제 해결 부족’(40%), ‘대북관계·친북성향’(13%)을 꼽았다.

갤럽은 제2차 북미정상회담 합의 무산 소식은 조사기간 사흘 중 마지막날 오후 늦게 전해져 이번 조사에 거의 반영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정당 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이 2% 포인트 내린 38%, 자유한국당은 1% 포인트 오른 20%였다. 정의당은 2% 포인트 하락해 8%, 바른미래당은 1% 포인트 상승해 7%, 민주평화당은 1%였다.

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한국갤럽 홈페이지나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