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한정애 “전공의, 의료현장 돌아올 명분 확보”

[속보] 한정애 “전공의, 의료현장 돌아올 명분 확보”

곽혜진 기자
입력 2020-09-05 22:56
업데이트 2020-09-05 22: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오른쪽)과 최대집 대한의사협회장이 4일 오전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정책협약 이행 합의서에 사인 후 포즈를 취하고 있다. 민주당과 의협 간 합의안에는 의료계에서 파업 철회 조건으로 내걸어 온 “의대 정원 확대, 공공의대 신설 추진 등을 원점에서 재검토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2020. 9. 4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오른쪽)과 최대집 대한의사협회장이 4일 오전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정책협약 이행 합의서에 사인 후 포즈를 취하고 있다. 민주당과 의협 간 합의안에는 의료계에서 파업 철회 조건으로 내걸어 온 “의대 정원 확대, 공공의대 신설 추진 등을 원점에서 재검토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2020. 9. 4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은 5일 정부·여당과 대한의사협회(의협)의 합의에도 전공의들이 집단휴진을 지속하는 것과 관련해 “전공의들도 의료계 내부의 절차적 문제를 삼는 것이지, 합의 자체를 문제 삼진 않는다”며 “돌아올 명분은 확보됐다고 본다”고 말했다.

한 의장은 이날 JTBC 뉴스룸에 출연해 “(의료계와의 합의가) 쉽지는 않았지만, (서로) 문제 의식은 같으니 방법을 찾아보자고 하면서 합의에 이르렀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히 당내에서 ‘백기투항’이라는 비판이 나오는 데 대해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와 전쟁을 치르는 상황에서 의료인들이 의료 현장을 지키게 하는 것도 정부 역할”이라며 “아픈 사람들은 빨리 치료를 받아야 하는데 그 절박함도 정부가 책임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민과 환자에게 백기투항했다는 건 받아들일 수 있다”며 “(공공의료 확충) 정책을 절회하거나 정책을 추진하지 않으려는 것 아니냐는 것에는 동의하지 않는다”고 일축했다.

곽혜진 기자 demian@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