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대명’에 친문 투표 열기 식어
최고위원 5위권 내 4명이 친명
비명 후보, 단일화·여론조사 기대
![이재명(왼쪽부터), 강훈식,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가 9일 서울 양천구 CBS 사옥에서 열린 후보자 방송 토론회에서 손을 맞잡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김명국 기자](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09/SSI_20220809172643_O2.jpg)
![이재명(왼쪽부터), 강훈식,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가 9일 서울 양천구 CBS 사옥에서 열린 후보자 방송 토론회에서 손을 맞잡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김명국 기자](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09/SSI_20220809172643.jpg)
이재명(왼쪽부터), 강훈식,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가 9일 서울 양천구 CBS 사옥에서 열린 후보자 방송 토론회에서 손을 맞잡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김명국 기자
지난 6~7일 치러진 강원·대구·경북·제주·인천 권리당원 투표에서 이 후보는 74.15%라는 압도적 누적 득표율로 2·3위 후보들을 가볍게 따돌렸다. 최고위원 투표에서도 4명의 친명 후보(정청래·박찬대·장경태·서영교)가 모두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상위 5위 안에 든 비명(비이재명) 후보는 누적 득표율 22.24%를 얻어 2위를 기록한 고민정 후보가 유일했다.
이 후보의 독주는 경선 시작 전부터 ‘어대명’(어차피 당대표는 이재명) 시그널이 확산하면서 ‘친문’(친문재인) 지지층의 투표 열기가 식어 버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난 1·2차 경선 권리당원 투표율은 44.6%로 절반이 넘는 권리당원이 투표를 포기했다. 이 후보의 고향인 ‘TK’(대구·경북) 지역과 이 후보의 ‘안방’인 인천의 투표율(경북 57.81%·대구 59.21%·인천 41.26%)이 타 지역 투표율(강원 36.43%·제주 28.62%)을 훨씬 웃도는 등 지역별 온도차도 뚜렷했다.
비명 의원들 사이에서도 이번 전대에 대한 관심도가 낮아지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 친문 의원은 이날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대선이 끝난 지 얼마 안 됐고 이 후보는 우리 당 대선 후보였기 때문에 그 여파가 남아 있는 것”이라면서 “요즘 전당대회에 대해서 별로 관심 있게 보질 않는다”고 말했다. 비명 최고위원 주자를 지원하는 한 초선 의원은 통화에서 “국민의힘이 비대위 상황으로 이슈를 선점하고 있고 폭우까지 발생하면서 상대적으로 민주당에 대한 관심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단일화’ 등 이벤트를 만들어 흥행의 불씨를 되살릴 수 있다는 일말의 기대는 남아 있다. 박용진 후보 측 관계자는 “단일화에 대해서 대리인끼리 소통하고 있고 내일(11일) 기자회견을 통해 내용을 밝힐 예정”이라면서 “여론조사 지지율도 많이 올라갔고 예비경선에서도 1·2위 표차가 얼마 안 났기 때문에 대의원 투표에서도 기대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