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취임 100일을 하루 앞둔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들어서고 있다. 2022.08.16 박지환 기자](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16/SSI_20220816100850_O2.jpg)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 100일을 하루 앞둔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들어서고 있다. 2022.08.16 박지환 기자](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16/SSI_20220816100850.jpg)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 100일을 하루 앞둔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들어서고 있다. 2022.08.16 박지환 기자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출근길 문답을 통해 ‘광복절 경축사에 일본군 ‘위안부’·강제징용 피해자 문자에 대한 메시지가 없어 아쉽다는 반응도 있었다. 이들의 피해 회복 해법이 있느냐’는 질문을 받고 이렇게 답했다.
윤 대통령은 “이 정부 출범 전부터 여러 가지 방안에 대해 깊이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전날엔 일반적인 방향에 대해 이야기하기 위해 세부적인 이야기는 들어가지 않았지만 그 취지에 다 (포함돼) 있다고 보면 된다”며 “‘위안부’ 문제 역시 인권과 보편적 가치와 관련된 문제 아니겠냐, 그렇게 이해하면 될 것 같다”고 했다.
전날 경축사에서 국정 운영의 청사진을 총론적으로 소개하다보니 세부 현안을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자유와 인권의 가치 차원에서 ‘위안부’ 문제 등을 바라보고 있다는 의미로 읽힌다.
![윤석열 대통령이 15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잔디마당에서 열린 ‘제77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 2022.08.15 박지환 기자](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16/SSI_20220816100915_O2.jpg)
![윤석열 대통령이 15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잔디마당에서 열린 ‘제77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 2022.08.15 박지환 기자](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16/SSI_20220816100915.jpg)
윤석열 대통령이 15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잔디마당에서 열린 ‘제77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 2022.08.15 박지환 기자
이 할머니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 국제사법재판소 회부 추진위원회를 통해 ‘위안부’ 문제에 대한 언급 없이 일본과의 관계 개선만 이야기했다며 이렇게 지적했다.
이 할머니는 일본이 역사를 왜곡하고 명예를 짓밟아도 일본 비위를 맞추는 것이 더 중요하냐며 일본이 반성과 사죄를 하는 것이 순서가 아니냐고 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위안부’ 문제를 해결할 의지가 없다면 유엔 고문방지위원회에 문제를 넘겨달라고 청했다.
윤 대통령은 광복절 경축사에서 한일관계의 포괄적 미래상을 제시한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을 계승해 한일관계를 빠르게 회복하고 발전시키겠다고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이 15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잔디마당에서 열린 ‘제77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 2022.08.15 박지환 기자](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16/SSI_20220816100942_O2.jpg)
![윤석열 대통령이 15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잔디마당에서 열린 ‘제77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 2022.08.15 박지환 기자](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16/SSI_20220816100942.jpg)
윤석열 대통령이 15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잔디마당에서 열린 ‘제77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 2022.08.15 박지환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