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미 이후 첫 공개 강연
![이낙연 전 총리가 22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열린 평화통일 강연회에서 한반도 평화통일을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2022.8.23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23/SSI_20220823104601_O2.jpg)
![이낙연 전 총리가 22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열린 평화통일 강연회에서 한반도 평화통일을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2022.8.23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23/SSI_20220823104601.jpg)
이낙연 전 총리가 22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열린 평화통일 강연회에서 한반도 평화통일을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2022.8.23 연합뉴스
이 전 총리는 이날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열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애틀랜타 협의회’(회장 김형률) 초청 특별 강연에 참석, “종전선언과 북미 수교가 양자택일 관계는 결코 아니라고 본다”며 이같이 밝혔다.
현재 조지워싱턴대학의 한국학연구소에서 연구 활동을 하고 있는 이 전 총리가 공개 강연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전 총리는 이날 강연에서 북한 비핵화 문제에서 한국의 적극적인 역할을 주장했다.
이 전 총리는 한국의 역할을 확대하기 위한 과제로 “한국의 대북정책에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면서 “지금까지 정권이 바뀌면 대북정책이 근간부터 바뀌곤 했다”고 지적했다.
또 그는 “정치도 대북 문제를 중심으로 양극화돼왔다. 그래서는 북한의 신뢰를 얻기 어렵다”면서 “정권이 바뀌더라도 흔들리지 않을 대북정책의 근간을 세우고 양극화를 개선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어 그는 “한국의 역량과 정책에 대한 미국, 중국 등 관련국과의 신뢰를 얻어야 한다”며 “그러자면 우선 미국의 이해와 협력이 절실하다”며 과거 김대중 전 대통령과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의 선례를 예로 제시했다.
![1998년 6월 한·미 정상회담 당시 백악관에서 열린 만찬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과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이 다정하게 귓말을 나누고 있다. 서울신문 DB](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6/26/SSI_20170626174555_O2.jpg)
서울신문 DB
![1998년 6월 한·미 정상회담 당시 백악관에서 열린 만찬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과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이 다정하게 귓말을 나누고 있다. 서울신문 DB](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6/26/SSI_20170626174555.jpg)
1998년 6월 한·미 정상회담 당시 백악관에서 열린 만찬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과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이 다정하게 귓말을 나누고 있다.
서울신문 DB
서울신문 DB
![이낙연 방미…환송 나온 지지자들과 인사](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6/07/SSI_20220607093652_O2.jpg)
![이낙연 방미…환송 나온 지지자들과 인사](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6/07/SSI_20220607093652.jpg)
이낙연 방미…환송 나온 지지자들과 인사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전 대표가 7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2터미널에서 미국으로 출국하기 전 지지자들과 인사하고 있다. 2022.6.7 연합뉴스
미국 정부에 대해선 “북한에 이념적 접근보다는 실용적 정책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며 “실용주의 정책으로 북한을 고립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이 북한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의 새로운 시작이 될 수 있다”고 주문했다.
특히 그는 “문재인 정부가 추진했던 한반도 종전선언에 미국이 협력하지 않은 것도 몹시 아쉽다”면서 “만약 미국이 종전선언을 실현했다면, 북한 비핵화에 도움을 주었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이 전 총리는 지난해 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에서 이재명 후보에 패배한 이후, 대선 전인 올해 3월부터 미국 연수를 준비해오다 6월 출국했다. 이 전 총리는 미국 체류 기간을 1년으로 잡았다.
그는 당시 미국 워싱턴 덜레스 공항을 통해 미국에 입국, 소감을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공부도 할 만큼 하고 이 기간이 의미 있는 기간이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는 또 조지워싱턴대학 한국학연구소에서 연구할 주제에 대해선 “한반도 평화와 관련되는 국제 정치”라며 “사실 진작했어야 되는데, 제 팔자가 이제 처음으로 자유인이 됐다. 백수가 된 것이다. 느긋하게 공부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