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제20대 대통령선거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된 15일 부산 부전동 서면 젊음의 거리에서 이준석 대표와 함께 무개차를 타고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2022. 2 .15 김명국 선임기자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은 25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대통령이 주도했다고 강하게 주장하고 있는 이준석 전 대표 발언에 대해서 대통령이 입장을 표명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부인하지 않으면 시인하는 게 된다. 대통령실에서 명확한 답변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하 의원은 “내부 총질 문자가 공개되고 나서는 갑자기 궐위로 바뀌었다. 이 전 대표는 대통령이 이걸 주도했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래서) 신군부 비유도 나오게 된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대통령이 이 전 대표 쫓아내는 사태를 주도했다고는 생각하고 싶지 않다”며 “물론 당내 주류 세력들은 사실상 주도했다. 대통령과 이 전 대표의 정치적 타협 여지는 완전히 죽은 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국민의힘은 지난 9일 전국위원회를 열어 비대위 체제 전환을 위한 당헌 개정을 마무리했다. 이 전 대표가 지난 7월 당 윤리위로부터 ‘성상납 증거인멸 교사’ 의혹으로 ‘당원권 6개월 정지 징계’를 받으면서 비상상황이 발생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 2022. 7. 6 김명국 기자
국민의힘 측은 이 전 대표가 당원권이 정지된 것을 ‘당 대표가 궐위된 경우에 준하는 사유’라고 봤다. 이에 반해 이 전 대표 측은 ‘“이미 의원총회에서 만장일치로 사고에 불과하다는 의결이 나온 상황”이라며 ‘궐위’가 아니라 ‘사고’ 상황이라고 반박해왔다.
한편 홍준표 대구시장은 이 전 대표를 ‘독가시를 가진 선인장’에 비유하며 봉합의 여지가 없다고 봤다.
홍준표 대구시장. 뉴스1
그러면서 홍 시장은 “이젠 독가시를 가진 선인장이 되어 버린 이 전 대표를 윤대통령 측에서 품을 수가 있을까. 조속히 여당이라도 안정이 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나경원 전 의원도 지난 23일 대구시의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정치라는 건 늘 큰 곳에서 다시 만나고 하는 것인데, (이 전 대표의 최근 발언과 행보는) 정말 돌이킬 수 없을 정도, 회복할 수 없을 정도로 해서는 안되는 말을 하고 있다”며 “안타까움을 넘어 이제는 같이 갈 수 없을 것 같다”고 했다.
나경원 전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 16일 본지 인터뷰에서 윤석열 정부 국정 상황에 대한 의견을 밝히고 있다. 나 전 의원은 당내 ‘이준석 사태’와 관련해 “청년 정치인인 이준석이 청년정치를 망쳐 놨다”고 맹렬히 비판했다.
김명국 기자
김명국 기자
현재까지 대통령실은 이 전 대표에 대해 무반응이 최선이라는 기류가 읽힌다. 이 전 대표 역시 사실상 화해할 뜻이 없음을 밝힌 상황이다.
이 전 대표는 전날 SBS 인터뷰에서 “저는 부당하게 당대표직에서 내쫓기듯 나왔다고 생각하는데, 저를 내쫓았던 사람 혹은 세력이 ‘내가 아량이 있으니 너를 품어줄게’ 하면서 베푸는 모습까지 허용하고 감내해야 하는가”라며 “저를 막 내쫓은 다음에 ‘우리가 너를 품어줄게’ 이러는 것은 모욕적인 표현이다”고 해 친윤계와 화해할 뜻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다만 ‘윤 대통령이 유감 표명을 한다면 대통령에 대한 공격과 비판을 자제하겠는가’는 질문에 “만약 (윤 대통령이) 잘못됐다고 인정한다면, 그리고 그 뒤에 있었던 후속 조치들(비대위 전환)을 거둬들인다면 인정하겠다”고 해 여지를 남겼지만 사실상 쉽지 않아 보인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