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문점선언 5주년…文 “한반도 비핵화, 중·러와도 협력해야”

판문점선언 5주년…文 “한반도 비핵화, 중·러와도 협력해야”

이범수 기자
이범수 기자
입력 2023-04-27 17:13
수정 2023-04-27 17: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경기도·文정권 출신모임 공동주최 학술회의
尹정부-중·러 갈등 비판 해석도

이미지 확대
영화 ‘문재인입니다’ 스틸컷
영화 ‘문재인입니다’ 스틸컷
문재인 전 대통령은 판문점선언 5주년인 27일 “한반도 비핵화를 위해서는 중국, 러시아와도 협력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문 전 대통령은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콘퍼런스홀에서 열린 ‘4·27 판문점선언 5주년 학술회의 : 평화의 봄을 부르다’ 행사에 보낸 서면 축사에서 이같이 밝혔다.

문 전 대통령은 현재 외교안보 상황을 두고 “한반도 정세가 더욱 악화하고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는 현실이 우려스럽다”며 “대립이 격화하는 불안정한 국제정세까지 맞물려 위기의 강도가 어느 때보다 높다”고 진단했다.

아울러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평화가 깨지고 군사적 충돌을 부추겨 국민 생명도, 안전도, 경제도 돌이킬 수 없는 위험에 빠트릴 수 있다”며 “이럴 때일수록 인내심을 갖고 대화를 통해 평화를 찾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남과 북, 미국이 함께 대화 복원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며 “더 늦기 전에 남과 북, 국제사회가 함께 대화 복원과 긴장 해소, 평화의 길로 하루속히 나서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미지 확대
문재인(왼쪽) 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018년 4월 27일 남북 정상회담을 마치고 판문점 평화의집 앞에서 ‘판문점 선언’을 공동 발표하고 있다.  판문점 한국공동사진기자단
문재인(왼쪽) 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018년 4월 27일 남북 정상회담을 마치고 판문점 평화의집 앞에서 ‘판문점 선언’을 공동 발표하고 있다.
판문점 한국공동사진기자단
문 전 대통령의 이런 입장은 사실상 남북 간 대화가 단절된 동시에 윤석열 대통령의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 시사 및 대만 해협 발언 등으로 러시아 및 중국과 갈등이 이는 상황에 대한 우려와 비판적 시각을 함께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행사는 경기도와 한반도평화포럼 및 문재인 정부 청와대 고위 참모와 장관 등의 모임인 ‘포럼 사의재’가 공동으로 주최했다.

앞서 2018년 4월 27일 문재인 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판문점에서 첫 정상회담을 하고, 한반도 비핵화와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설치 등을 골자로 하는 판문점 선언을 발표한 바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