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부, 다음 달 19일까지 현 체제 유지
청년 조직 등 “자강론 실패”…사퇴 촉구
대변인과 대화하는 이정미 대표
이정미(오른쪽) 정의당 이정미 대표가 16일 국회에서 열린 상무집행위원회에서 김희서(가운데) 대변인과 대화하고 있다. 왼쪽은 배진교 원내대표.
연합뉴스
연합뉴스
16일 정치권에 따르면 정의당은 지난 주말 대표단·의원단·광역 시도당 연석회의를 차례로 열어 향후 당 진로를 논의했고 ‘이정미 지도부’를 유지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이 대표는 자리에 연연하지 않겠다고 했으나 현 지도부로 당 대회를 치르자는 의견이 다수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도부는 재창당 준비에 주력한 뒤 당 대회 이후 ‘총선 지도부’를 구성할 계획이다. 김희서 수석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정의당은 혁신의 마지막 기회라는 각오로 ‘혁신 당 대회’에 임할 것”이라며 “당의 변화와 진보 정치의 가능성을 국민들로부터 재신임받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비주류의 반발은 커지고 있다. 당내 청년 조직인 청년정의당 김창인 대표는 기자회견을 열어 “변화 없는 지도부에 동참할 수 없다”며 대표직에서 사퇴했다. 그는 “이정미 지도부는 보선 결과에 대해 눈 가리고 아웅 할 게 아니라 총사퇴를 말해야 한다”며 “이번 선거로 이정미 표 자강론은 실패했다”고 주장했다. 이는 정의당이 지난해 대선과 지방선거에서 참패한 뒤 존재감이 급격히 떨어졌고, 이번 보궐선거에서 권수정 정의당 후보의 득표율이 1.83%에 그쳐 권혜인 진보당 후보(1.38%)보다 겨우 0.45% 포인트 앞서 당의 존립이 위태롭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기자회견에 참석한 류호정 의원도 보선 결과에 대해 “당원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 마지노선이 무너진 엄중한 상황”이라며 “방향 전환을 해야 한다”고 했다. 류 의원은 ‘이 대표가 사퇴하면 대안은 무엇인가’라는 기자들의 질문에 “대안이 있으면 사퇴하고 없으면 사퇴하지 않는 게 아니다”라며 “보궐선거에서 패배한 국민의힘의 경우 임명직 당직자만 사퇴하는 상황을 보고 ‘정말 책임 없다’고 하는데 정의당도 그런다면 우리가 그들보다 더 나은 정당이라고 할 수 있느냐”고 지적했다.
정의당 기반의 제3지대 확장을 모색하는 ‘대안신당 당원모임’도 “실패를 인정하지 않고 하던 대로 하겠다는 지도부에게 더는 당의 미래를 맡길 수 없다”며 지도부의 사퇴를 촉구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