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창원 “대통령 포함 모든 공직에 65세 정년 도입하자” 장제원 반응이?
페이스북 캡처
표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대통령과 장관, 국회의원과 지자체장 등을 포함한 모든 공직에 정년 도입이 꼭 필요하다”며 “그래야 나라가 활력이 있고 빠르게 변하는 세상에 효율적으로 대응하면서 청년에게 폭넓고 활발한 참여 공간이 생긴다”고 밝혔다.
이어 “정치·공직 경험자가 ‘어른’으로서 일선에서 물러나 계셔야 현장의 극한대립을 이해관계에서 자유롭게 중재할 수 있다”며 “이때 비로소 나라가 안정된다”고 강조했다.
표 의원의 이같은 주장은 최근 사실상 대선 출마를 선언한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을 겨냥한 발언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반 전 총장은 1944년생으로 현재 만 72세로 표 의원이 언급한 ‘은퇴해야 할 나이’를 지났다. 반면 문 전 대표는 1953년으로 만 64세다.
표 의원은 논란이 일자 다시 글을 올려 “당연히 반 전 총장 생각도 했지만 그분만을 대상으로 한 이야기는 아니다”면서 “나도 스스로에게 65세를 정치 정년으로 설정했다”고 해명했다.
표 의원의 이같은 의견에 바른정당 장제원 의원은 반박하고 나섰다. 이날 장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지금 우리는 100세 시대에 살고 있다. 어르신들의 경륜을 어떻게 사회의 새로운 에너지로 승화시킬 것인가를 고민해야 할 시대”라며 “이런 시대착오적인 신고려장 발상은 65세 이상 건강하게 열정적으로 사회에 참여하고 계신 국민들께 큰 상처를 주고 있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