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가 “사람중심 투자, 공정경제, 혁신성장이라는 3가지 정책 방향에 우선 순위를 두겠다”고 밝혔다. 김 후보자는 고용없는 성장, 양극화 심화, 저출산·고령화로 한국 경제의 성장 잠재력이 지속해서 약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김 부총리는 7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모두발언을 통해 “앞으로 사람이 중심이 돼 지속해서 성장하는 경제를 중점 정책 목표로서 제시하고자 한다”면서 “일자리 확대와 양극화 해소를 바탕으로 성장 잠재력의 확충이 이뤄질 때 (목표 실현이) 가능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사람중심 투자를 위해 “경제 정책을 고용 창출에 중심을 둬 재설계하고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을 통해 인적 자원을 고도화하고 노동생산성을 향상시키겠다”고 밝혔다.
김 후보자는 자신이 제시한 3가지 정책 방향이 거시경제 안정과 사회적 자본 확충이 제대로 됐을 때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그는 “적극적 거시정책과 함께 가계부채, 부동산, 구조조정, 보호무역주의 등 대내외 리스크를 선제로 관리하겠다”면서 “정책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각종 의사결정 체계를 개선해 경제주체 사이의 신뢰를 높여나가겠다”고 말했다.
또 노력과 헌신에 따라 경제 주체들이 정당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경제 사회 전반의 인센티브 체계도 점검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건전한 산업 생태계가 활발히 조성되도록 시장 질서를 확립하고 기업 지배구조를 개선하겠다”면서 “노동시장에서 불합리한 차별이 없도록 비정규직 처우 개선 등으로 노동시장 이중구조를 해소해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들만의 리그’가 아닌 ‘국민 모두를 위한 정책’, ‘살아있는 정책’, ‘현장에서 효과가 나타나는 정책’을 만들도록 하겠다”며 “국민의 목소리를 낮은 자세로 듣겠다”고 약속했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선서하는 김동연 경제부총리 후보자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가 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선서하고 있다. 연합뉴스
그는 사람중심 투자를 위해 “경제 정책을 고용 창출에 중심을 둬 재설계하고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을 통해 인적 자원을 고도화하고 노동생산성을 향상시키겠다”고 밝혔다.
김 후보자는 자신이 제시한 3가지 정책 방향이 거시경제 안정과 사회적 자본 확충이 제대로 됐을 때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그는 “적극적 거시정책과 함께 가계부채, 부동산, 구조조정, 보호무역주의 등 대내외 리스크를 선제로 관리하겠다”면서 “정책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각종 의사결정 체계를 개선해 경제주체 사이의 신뢰를 높여나가겠다”고 말했다.
또 노력과 헌신에 따라 경제 주체들이 정당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경제 사회 전반의 인센티브 체계도 점검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건전한 산업 생태계가 활발히 조성되도록 시장 질서를 확립하고 기업 지배구조를 개선하겠다”면서 “노동시장에서 불합리한 차별이 없도록 비정규직 처우 개선 등으로 노동시장 이중구조를 해소해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들만의 리그’가 아닌 ‘국민 모두를 위한 정책’, ‘살아있는 정책’, ‘현장에서 효과가 나타나는 정책’을 만들도록 하겠다”며 “국민의 목소리를 낮은 자세로 듣겠다”고 약속했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