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태경 “전광훈, 구속해 엄벌 처해야”…통합에서도 비판 목소리

하태경 “전광훈, 구속해 엄벌 처해야”…통합에서도 비판 목소리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20-08-17 14:09
업데이트 2020-08-17 14: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페이스북서 “국민 힘써왔던 방역 물거품” 비판

“사태 빌미 준 민주당·서울시도 책임 물어야” 주장
미래통합당 하태경 의원. 연합뉴스
미래통합당 하태경 의원. 연합뉴스
광복절 집회를 주도한 전광훈 사랑제일교회 담임목사에 대해 하태경 미래통합당 의원이 “구속해 엄벌에 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통합당 내부에서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논란을 일으킨 전 목사와 분명하게 선을 그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한 것이다.

하 의원은 17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전 목사는 자신의 교회에서 코로나19 대규모 확산이 확인됐는데도 소속 교인들 서울 집회에 동원했다”며 “그동안 수많은 의료진과 공무원, 국민들이 힘써왔던 방역이 순식간에 물거품 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코로나 사태 초기 신천지보다 더 질이 나쁘다. 반드시 엄벌에 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이번 사태의 빌미를 준 민주당과 서울시도 함께 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민주당과 서울시는 집회가 금지된 서울광장에서 고(故) 박원순 전 시장의 대규모 장례식을 강행해 전 목사 측에 집회 강행의 빌미를 줬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서울광장이나 광화문광장은 모두 서울시에서 직접 집회금지 명령을 내린 장소”라며 “여기에서 그 어떠한 행사도 불허하는 것이 서울시의 확고한 입장이다. 그래서 불법 집회한 전광훈 목사도 고발돼야 하고, 같은 논리로 이해찬 민주당 대표와 서울시 부시장도 고발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 의원은 “경찰은 박 전 시장 분향소의 위법성을 따지려고 보건복지부에 유권 해석을 요청했다고 한다”며 “(제가 받아놓은) 복지부의 답변 내용은 ‘우린 모르겠고, 경찰한테 물어봐라’였다. 국무총리실은 복지부에 물어보라고 하고 복지부는 경찰에 물어보라고 했는데 경찰은 다시 복지부에 물어보라고 하는 코미디 같은 상황이 반복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서울 도심에서 보수단체를 중심으로 강행된 8·15 광복절 집회가 코로나19 재확산의 기폭제가 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주최 측 추산 1만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마스크를 벗거나 턱 아래로 내려 쓴 사람들이 많았고 ‘거리두기’조차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사진은 지난 15일 종로구 동화면세점 앞에서 전광훈 사랑제일교회 목사가 밀집한 군중 앞에서 발언하고 있는 모습. 서울행정법원은 해당 집회가 100명 규모라는 주장만을 믿고 집회를 허용했다. 연합뉴스
서울 도심에서 보수단체를 중심으로 강행된 8·15 광복절 집회가 코로나19 재확산의 기폭제가 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주최 측 추산 1만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마스크를 벗거나 턱 아래로 내려 쓴 사람들이 많았고 ‘거리두기’조차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사진은 지난 15일 종로구 동화면세점 앞에서 전광훈 사랑제일교회 목사가 밀집한 군중 앞에서 발언하고 있는 모습. 서울행정법원은 해당 집회가 100명 규모라는 주장만을 믿고 집회를 허용했다.
연합뉴스
그는 “서울시가 스스로 방역 원칙을 무너뜨린 불법 분향소를 설치해놓고, 도저히 수습이 안 되니 정부부처가 서로 책임을 떠넘기는 폭탄 돌리기 하는 것”이라며 “이러니 전광훈 같은 사람이 국가의 방역체계를 우습게 보고 집회 강행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 의원은 “복지부는 경찰의 판단으로 떠넘겼으니 경찰은 기존의 사례를 참고해서 박원순 분향소 설치를 지시한 사람들 모두 기소하면 된다”며 “내편 무죄, 네편 유죄의 이중잣대는 안 된다. 그래야 전광훈 엄벌의 공정성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끝으로 “무너진 국가방역체계를 다시 일으켜 세우기 위해선 집회를 강행한 전광훈과 불법 분양소를 세운 서울시 모두 엄벌에 처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